Text-World Theory로 분석한 솔로몬의 지혜로운 판결 이야기(누가 살아있는 아기의 어머니인가)

  1. 그 때에 창기 두 여자가 왕에게 와서 그 앞에 서며
  2. 한 여자는 말하되 내 주여 나와 이 여자가 한집에서 사는데 내가 그와 함께 집에 있으며 해산하였더니
  3. 내가 해산한 지 사흘 만에 이 여자도 해산하고 우리가 함께 있었고 우리 둘 외에는 집에 다른 사람이 없었나이다
  4. 그런데 밤에 저 여자가 그의 아들 위에 누우므로 그의 아들이 죽으니
  5. 그가 밤중에 일어나서 이 여종 내가 잠든 사이에 내 아들을 내 곁에서 가져다가 자기의 품에 누이고 자기의 죽은 아들을 내 품에 뉘었나이다
  6. 아침에 내가 내 아들을 젖 먹이려고 일어나 본즉 죽었기로 내가 아침에 자세히 보니 내가 낳은 아들이 아니더이다 하매
  7. 다른 여자는 이르되 아니라 산 것은 내 아들이요 죽은 것은 네 아들이라 하고 이 여자는 이르되 아니라 죽은 것이 네 아들이요 산 것이 내 아들이라 하며 왕 앞에서 그와 같이 쟁론하는지라
  8. 왕이 이르되 이 여자는 말하기를 산 것은 내 아들이요 죽은 것은 네 아들이라 하고 저 여자는 말하기를 아니라 죽은 것이 네 아들이요 산 것이 내 아들이라 하는도다 하고
  9. 또 이르되 칼을 내게로 가져오라 하니 칼을 왕 앞으로 가져온지라
  10. 왕이 이르되 산 아이를 둘로 나누어 반은 이 여자에게 주고 반은 저 여자에게 주라
  11. 그 산 아들의 어머니 되는 여자가 그 아들을 위하여 마음이 불붙는 것 같아서 왕께 아뢰어 청하건대 내 주여 산 아이를 그에게 주시고 아무쪼록 죽이지 마옵소서 하되 다른 여자는 말하기를 내 것도 되게 말고 네 것도 되게 말고 나누게 하라 하는지라
  12. 왕이 대답하여 이르되 산 아이를 저 여자에게 주고 결코 죽이지 말라 저가 그의 어머니이니라 하매
  13. 온 이스라엘이 왕이 심리하여 판결함을 듣고 왕을 두려워하였으니 이는 하나님의 지혜가 그의 속에 있어 판결함을 봄이더라

Text-World Theory란 본문에 반영되어 있는 가상(혹은 실재) 세계를 정의함으로 텍스트 이면에 있는 등장인물들의 대화 혹은 사건들의 심리적이거나 인지적인 내용을 분석하여 본문을 더 잘 이해하려는 “독자 반응 비평”의 일종에 속하는 문학 방법론이다. 나중에 이에 대해 자세히 소개할 기회가 있으리라 생각한다. 이에 대한 내용은 다음의 사이트를 참고하라. (https://textworldtheory.org/)

하나의 세계(world)는 시간, 공간 등으로 구성되어, 이 이론에서 세계는 물리적인 세계 뿐만 아니라 인간의 내면세계까지도 포괄하는 개념이다. 위 본문을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세계가 구성된다.

세계1
16-17절 일부(“한 여자는 말하되”까지)
장소: 왕의 재판정
인물: 두 창기, 솔로몬 왕
시간: 그 때에 (솔로몬이 지혜를 하나님으로부터 받고 난 후. 하나님 앞에 제사를 마치고 난 후)

세계1 ==> 세계2 (시간의 변화 – 창기1의 과거 회상)

세계2
17절 일부 – 21절
장소: 두 창기가 살던 집
인물: 두 창기, 다른 사람이 없었음을 강조
객체: 죽은 아기, 산 아기
시간: 두 창기가 해산하고 난 뒤 3일 뒤

세계2 ==> 세계3 (시간의 변화 – 과거회상에서 현재)

세계3
22-27절
장소: 왕의 재판정
인물: 두 창기, 솔로몬
객체: 죽은 아기, 산 아기
시간: 담화가 이루어지는 그 시간(본문의 현재)
감정표출: 그 산 아들의 어머니 되는 여자가 그 아들을 위하여 마음이 불붙는 것 같아서

세계3 ==> 세계4 (공간의 변화 – 온 이스라엘)

세계4
28절
장소: 이스라엘 전역
인물: 이스라엘 백성
시간: 솔로몬의 판결 이후
감정표출: 왕을 두려워하였으니

위 본문의 첫번째 세계는 솔로몬이 하나님께 제사를 드리고 지혜를 얻은 다음에 열리고 있다. 이러한 연결성으로볼 때 저자는 독자로 하여금 솔로몬이 받은 지혜의 실체가 무엇인지를 이야기해 주고자 하는 것 같다. 그 때 왕의 재판정에 두 창기가 찾아온다. 여기서 두 창기와 솔로몬이 주요 행위자로 등장하는데 그 구성이 매우 어색하다. 왜냐하면 당시 신분이 비천한 창기들이 왕 앞에 바로 선다는 것 자체가 우리의 시각에서는 파격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 파격적인 등장인물들을 새로운 세계에 놓고 왕과 동일한 선상에 둠으로 왕의 지혜의 첫번째 요소가 무엇인지를 이야기해 주고 있는 것 같다. 그것은 솔로몬이 구한 “듣는 마음”(9절)의 실체이다. 즉, 신분을 가리지 않고 백성들의 말을 듣는 것이 솔로몬이 받은 지혜의 한 속성이라 볼 수 있다.

두 번째 세계는 첫번째 창기의 과거 회상으로 새롭게 생성되고 있다. 첫번째 세계의 현재 시점에서 첫번째로 등장하는 창기의 과거 진술로 옮겨가고 있다. 장소는 두 창기가 살고 있는 집이고, 그 창기는 자신들 외에는 어떤 사람도 있지 않았다고 진술한다. 이런 진술에서 느껴지는 두 번째 세계의 이미지는 “고립” 혹은 “외로움”이다. 여성이 아이를 출산한다는 것 자체가 당시에는 목숨을 건 위험한 일이었고, 해산 후에 돌봐줄 사람 없이 둘만 있었다는 것 또한 그들의 삶의 어려움을 나타낸다. 결국 그들의 외로움을 달래줄 수 있는 것은 그들의 “아기”였다. 위에서 나는 죽은 아기와 산 아기를 인물이 아닌 객체로 분류했다. 이는 위 본문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는 아기들의 본질은 창기들의 외로움을 달래줄 “소유물”이라는 점이다. 이런 측면에서 아기들은 두 창기의 삶에 있어서 절대적인 소유물이었고, 그러기에 살아있는 아기의 소유권을 가지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였다.

또한 이 두 번째 세계에서 중요한 것은 현재 이 과거 진술을 하고 있는 첫번째 창기의 심리적인 상황이다. 그녀의 진술은 매우 일관되어 보인다. 그런데 여기에는 좀 문제가 있어 보인다. 그것은 바로 이 창기의 진술을 확인해 줄 증인이나 증거가 부재하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이 여인이 진실을 이야기하고 있는지, 혹은 거짓을 이야기하고 있는지 매우 모호하다. 이 이야기를 심층적으로 읽지 않은 독자라면 이 여인이 진실을 이야기하고 있을 것이라 쉽게 믿을지 모른다. 그러나 여기에는 함정이 있다. 그것은 정말로 이 여인의 말대로 그녀가 잠을 자고 있었더라면 그 아기가 죽은 원인을 어떻게 알아챌 수 있었느냐는 것이다. 때로는 매우 논리정연한 진술이 꾸며진 진술일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이런 측면에서 나중에 밝혀지지만 이 여인의 진술은 이 사건을 해결하는 어떤 도움도 되지 않는다.

세 번째 세계는 다시 왕의 재판정 현재이다. 이 과거의 이야기를 들은 두 번째 창기가 그 이야기를 부정하며 살아 있는 아기가 자신의 것이라 주장한다. 이 창기는 과거의 이야기를 하지 않고 현재의 이야기만을 하고 있다. 현재의 이야기는 곧 살아있는 아기에 대한 집착이다. 자신을 논리있게 변호하려고 하지 않으며, 오직 자신의 소유권만을 주장하는 모습이 첫번째 여인의 모습과 대비된다. 그러나 이를 그냥 스쳐 지나가면 이 여인이 자신의 욕심만을 주장하고 있는 여인으로 비춰지고 아이를 죽인 범인으로 지목될 수 있다. 그러나 자신의 아이를 빼앗길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어머니의 입장에서 과연 이성적이고 논리적일 수 있는 것이 가능할까? 이 여인이 논리가 없다고 해서 거짓을 이야기했다고 단언할 수 없다.

세 번째 세계에 마지막으로 개입하는 인물은 바로 솔로몬 왕이다. 솔로몬 왕은 이 재판을 마무리지어야 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솔로몬은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두 여인의 증언으로부터 판결을 할 수는 없다. 증인이 없기 때문이다. 이 때 솔로몬은 전혀 다른 방법을 선택한다. 살아있는 아이를 데리고 와서 반으로 쪼개어 각자에게 주라는 것이다. 솔로몬의 이 판결문에서 나타나는 것은 솔로몬 역시 아기를 철저히 객체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반으로 쪼개어 나눠주는 것은 살아있는 생명에게 있어서 전혀 의미가 없는 것이다. 두 여인이 살아있는 아기를 (누가 진짜 어머니인가에 상관없이) 자신들의 소유물로 삼으려는 이기심을 꼬집어내는 판결이다.

에니메이션 라이온 킹의 하이라이트는 철부지 사자 라이온 킹이 동료가 위험에 처했을 때 야성을 되찾아 숲의 왕으로 등극하는 장면이다. 심리적인 극한에 치달았을 때, 본능이 폭발하게 되며, 모든 감정과 이성을 우선하게 된다. 여기가 바로 그 장면이다. 진짜 어머니는 그 아기가 어떤 자의 소유가 되건 간에 살아있어야 한다는 모성애의 본능이 여기서 터져 나오고 있다. 이는 가짜 어머니의 시니컬한 반응과 극명히 대조된다. 그럼으로 솔로몬은 모성애의 표출을 통해 진짜 판결을 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솔로몬의 지혜의 속성이 나타나게 된다. 두 창기의 증언들만 난무한 가운데 누구도 생각지 못한 전혀 다른 방식으로 재판하는 능력을 통해 솔로몬의 지혜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마지막 4번째 세계는 왕궁을 벗어나 온 이스라엘로 범위가 전환되고 있다. 여기서 이스라엘 백성들은 두려움의 감정을 표출한다. 1-2장에서 솔로몬은 왕위에 등극하기 위해 엄청난 투쟁을 겪어야 했고, 여전히 왕위에 대한 정당성의 문제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을 것이다. 결국 솔로몬은 자신이 하나님의 의해 선택된 왕이라는 것을 증명해야 했고, 이것은 이 재판 과정을 통해 분명하게 전달된 셈이다: “이는 하나님의 지혜가 그의 속에 있어 판결함을 봄이더라”

마지막 질문은 그렇다면 누가 진짜 살아있는 아기의 어머니인가 하는 점이다. 본문을 자세히 읽어보면 누가 범인인지 알 수 없다. 오직 하나님의 지혜를 가진 솔로몬만 그 답을 알고 있다는 것이 저자가 우리에게 주는 마지막 메시지인 것 같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