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고대_페르시아_제국과_이스라엘 [2023/09/10 08:07] kungsik고대_페르시아_제국과_이스라엘 [2024/05/24 09:11] (현재) – [페르시아 제국의 도래] 119.194.217.129
줄 33: 줄 33:
   * 바벨론 (행정 수도)   * 바벨론 (행정 수도)
   * 파사르가데 (고레스의 첫 수도, 고레스의 무덤이 위치해 있음)   * 파사르가데 (고레스의 첫 수도, 고레스의 무덤이 위치해 있음)
-  * 엑바타나 (고레스, 여름 궁전)+  * 엑바타나 (과거 메데의 수도, 고레스, 여름 궁전)
   * 수사 (과거 엘람의 수도, 캄비세스 2세 때 주요 수도 가운데 하나로 성장. 다리우스 때 대규모 건설, 왕실의 주거처이자 겨울궁전)   * 수사 (과거 엘람의 수도, 캄비세스 2세 때 주요 수도 가운데 하나로 성장. 다리우스 때 대규모 건설, 왕실의 주거처이자 겨울궁전)
   * 페르세폴리스 (의례가 이루어지는 수도, 다리우스가 수사와 함께 대규모 건설)   * 페르세폴리스 (의례가 이루어지는 수도, 다리우스가 수사와 함께 대규모 건설)
  
 +=== 아케메네스 왕조의 주요 왕들 ===
 +
 +  * 키루스/고레스 대왕(559-530) - 페르시아 제국의 창업자. 피지배민족에 대한 유화 정책. 
 +  * 캄비세스 2세 (530-522) - 이집트 정복. 반란 진압 도중 사망.
 +  * 바르디야 (522) - 캄비세스 2세의 동생. 캄비세스 2세에게 살해당함. 바르디야를 따르는 무리들이 반란을 일으켰지만 무산됨.
 +  * 다리우스 1세/다리오 (522-486) 
 +      * 페르시아 시대의 전성기를 이룸. 반란세력을 진압하고 이에 대한 기록을 [[https://www.wikiwand.com/en/Behistun_Inscription|베히스툰 비문]]에 남김 (*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NXzetIWHc4k|다큐 영상]] ). 
 +      * 지중해의 상권과 패권을 장악하고자 그리스까지 침공하려 했으나 그리스 원정은 실패로 끝남(마라톤 전투). 
 +      * 왕의 대로 정비 (수사-사르디. 2703km). 역참제를 통해 빠른 통신 체계 정비 (에스더서 참고)
 +      * 페르세폴리스 건설 - 조로아스터교의 중심
 +  * 크세르크세스 1세/아하수에로 (486-465)
 +      * 피정복 국가에 대한 강압정책
 +      * 그리스 정복 시도 - 살라미스 해전에서 대패함으로 그리스에 영향력 상실
 +      * 호화스러운 생활을 하다가 큰 아들과 함께 암살당함
 +  *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 아닥사스다 (465-424)
 +      * 마지막 전성기
 +      * 이집트의 반란을 진압하고 그리스와 평화협정 (헤로도토스의 활동)
 +      * 이 왕의 죽음 이후 아케메네스 왕조는 급격히 몰락.
 ==== 성서에 나타난 페르시아 제국 ==== ==== 성서에 나타난 페르시아 제국 ====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