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 | |||
레위기를_어떻게_읽을_것인가 [2023/09/17 15:01] – kungsik | 레위기를_어떻게_읽을_것인가 [2023/09/17 15:11] (현재) – kungsik | ||
---|---|---|---|
줄 7: | 줄 7: | ||
* 그 다음으로 본문의 역사적 정황이다. 레위기 본문은 이 텍스트가 드러내고 있는 광야와 성막 제의의 배경과는 다른 역사적 상황을 전제하고 있다고 여기며 레위기를 읽는 것이다. 이러한 독법은 성서에 대한 비평적인 관점을 가진 학자들이 가진 입장으로 레위기에 포함된 제사장 자료(P) 내지 법이 실제로는 포로기나 그 이후 시대의 산물이라 주장하는 학자들이 있다. 이런 관점에서 출애굽기의 성막과 레위기의 종교법은 실제 이스라엘 왕국시대와는 상관 없는 포로기의 이스라엘이 추구했던 신정 국가의 유토피아 세계를 지향하는 이데올로기의 산물이 된다. 그러나 이에 반박하여 레위기의 내용이 실제 성소가 존재했던 때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어떤 역사적 맥락을 가정하여 읽느냐에 따라 레위기의 위치와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으로 책의 저작 시기를 고려할 때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 * 그 다음으로 본문의 역사적 정황이다. 레위기 본문은 이 텍스트가 드러내고 있는 광야와 성막 제의의 배경과는 다른 역사적 상황을 전제하고 있다고 여기며 레위기를 읽는 것이다. 이러한 독법은 성서에 대한 비평적인 관점을 가진 학자들이 가진 입장으로 레위기에 포함된 제사장 자료(P) 내지 법이 실제로는 포로기나 그 이후 시대의 산물이라 주장하는 학자들이 있다. 이런 관점에서 출애굽기의 성막과 레위기의 종교법은 실제 이스라엘 왕국시대와는 상관 없는 포로기의 이스라엘이 추구했던 신정 국가의 유토피아 세계를 지향하는 이데올로기의 산물이 된다. 그러나 이에 반박하여 레위기의 내용이 실제 성소가 존재했던 때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어떤 역사적 맥락을 가정하여 읽느냐에 따라 레위기의 위치와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으로 책의 저작 시기를 고려할 때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 ||
- | * 위 역사적 정황과 어느 정도의 교차점을 갖고 있으면서도 특정한 역사를 초월하는 과거 시대속의 문화와 심리적인 차원에서 본문을 이해해 볼 필요가 있다. 이는 본문의 특정한 내용과 표현 양식을 만들어내는 근원이 된다. 이를테면 레위기에서 제시되는 거룩의 의미는 무엇일까? 레위기는 왜 모든 규정에 대해 상세한 이유를 설명하지 않는가? 등과 같은 것이다. | + | * 위 역사적 정황과 어느 정도의 교차점을 갖고 있으면서도 특정한 역사를 초월하는 과거 시대속의 문화와 심리학적, 인류학적인 차원에서 본문을 이해해 볼 필요가 |
- | * 이와는 다른 관점은 | + | * 그리고 오늘날의 상황에서 적용될 수 있는 해석의 과정이 필요하다. 해석을 위해서는 |
우리가 이러한 다각도의 방향에서 본문을 읽어냄으로 최종적으로 얻고자 하는 것은 본문의 메시지의 ‘원형’이다. 이는 시대를 초월하여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메시지를 도출해 내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원형은 ‘해석’의 과정을 통해 우리의 시대 속에서 다시 새롭게 적용될 수 있다. 해석은 본문이 탄생하는 그 순간부터 시작되는 것이지만, | 우리가 이러한 다각도의 방향에서 본문을 읽어냄으로 최종적으로 얻고자 하는 것은 본문의 메시지의 ‘원형’이다. 이는 시대를 초월하여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메시지를 도출해 내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원형은 ‘해석’의 과정을 통해 우리의 시대 속에서 다시 새롭게 적용될 수 있다. 해석은 본문이 탄생하는 그 순간부터 시작되는 것이지만, | ||
{{ 레위기: | {{ 레위기: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