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서원과_십일조_27장_1-34절 [2023/11/23 22:38] – [본문 전체가 당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전해주고자 하는 메시지는 무엇인가? (발제자: 오흥철)] 112.158.116.205 | 서원과_십일조_27장_1-34절 [2023/11/24 15:42] (현재) – [본문의 내용이 현재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발제자:서하경)] 211.234.199.68 | ||
---|---|---|---|
줄 48: | 줄 48: | ||
**3. 레위기의 결론 (27:34)** | **3. 레위기의 결론 (27:34)** | ||
+ | |||
+ | |||
+ | ==== 본문의 청중의 시대 (발제자: 박민희) ==== | ||
+ | |||
+ | 27장이 레위기 마지막 장에 위치한 이유와 특징에 대하여는 여러 주장이 제기되었다.((김근주, | ||
+ | |||
+ | **1. 이스라엘 초기시대** | ||
+ | |||
+ | 결론인 34절에서는 이 글에서 다루는 내용이 “시내산에서 이스라엘 자손을 위하여 모세에게 명령하신 계명”임을 밝힌다. 이 구절은 좁게는 시내산을 언급하는 25장 1절 이하의 내용과 맞물리며, | ||
+ | |||
+ | | ||
+ | |||
+ | **2. 왕정시대** | ||
+ | |||
+ | 본문을 제사 예배가 집중 부각되고 예배의 언어가 풍부한 왕정시대, | ||
+ | | ||
+ | |||
+ | **3. 포로기 이후 시대** | ||
==== 본문 전체가 당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전해주고자 하는 메시지는 무엇인가? | ==== 본문 전체가 당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전해주고자 하는 메시지는 무엇인가? | ||
줄 61: | 줄 79: | ||
그러므로 레위기 27장의 목적 중의 하나는, 성급한 서원을 자제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장에서는 서원을 한 사람의 마음이 바뀌어서 서원을 취소하고자 할 경우 본래 바치기로 서원한 서원물보다도 더욱 비싼 값을 치를 것이 요구되거나, | 그러므로 레위기 27장의 목적 중의 하나는, 성급한 서원을 자제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장에서는 서원을 한 사람의 마음이 바뀌어서 서원을 취소하고자 할 경우 본래 바치기로 서원한 서원물보다도 더욱 비싼 값을 치를 것이 요구되거나, | ||
- | (1) 사람 및 가축과 관련된 | + | **1. 서원 |
- | **사람의 서원(1~8절)** | + | **(1) 사람 및 가축과 관련된 서원 (27: |
+ | |||
+ | - 사람의 서원(1~8절) | ||
8절까지의 사람을 바치는 서원은 인신제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한 사람이 하나님께 헌신하기로 서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 사람의 값은 그 사람이 성막에서 봉사하는 값의 상대적 가치를 의미하는데, | 8절까지의 사람을 바치는 서원은 인신제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한 사람이 하나님께 헌신하기로 서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 사람의 값은 그 사람이 성막에서 봉사하는 값의 상대적 가치를 의미하는데, | ||
- | **동물의 서원(9~13절)** | + | - 동물의 서원(9~13절) |
동물도 서원할 수 있었다. 정결한 동물을 서원하면 거룩해지기 때문에 다른동물로 변경이 불가능하다. 부정한 동물을 서원할때 그 값은 제사장이 정했다. 그리고 부정한 동물의 서원을 취소하면 그 동물의 가치보다 20퍼센트 높은 값을 주고 속량할 수 있었다. 서원으로 바쳐진 동물은 성소의 재산이나 이동수단으로 사용했던 것일 수 있다.(( 마크 루커, 『레위기』 (서울 : 부흥과개혁사, | 동물도 서원할 수 있었다. 정결한 동물을 서원하면 거룩해지기 때문에 다른동물로 변경이 불가능하다. 부정한 동물을 서원할때 그 값은 제사장이 정했다. 그리고 부정한 동물의 서원을 취소하면 그 동물의 가치보다 20퍼센트 높은 값을 주고 속량할 수 있었다. 서원으로 바쳐진 동물은 성소의 재산이나 이동수단으로 사용했던 것일 수 있다.(( 마크 루커, 『레위기』 (서울 : 부흥과개혁사, | ||
- | (2) 집과 밭의 봉헌 (27:14-24) | + | **(2) 집과 밭의 봉헌 (27:14-24)** |
- | **집의 봉헌(14~15절)** | + | - 집의 봉헌(14~15절) |
이전의 서원들과 마찬가지로 서원한 집은 구별된다 거룩하게자기 집을 드리기로 서원하였으나 무르게 될 경우 제사장이 결정한 가격의 20퍼센트를 추가하여 지불해야한다. | 이전의 서원들과 마찬가지로 서원한 집은 구별된다 거룩하게자기 집을 드리기로 서원하였으나 무르게 될 경우 제사장이 결정한 가격의 20퍼센트를 추가하여 지불해야한다. | ||
- | **밭의 봉헌(16~24절)** | + | - 밭의 봉헌(16~24절) |
밭의 봉헌은 좀 더 복합하다. 왜냐하면 밭은 희년에 원소유자에게 되돌려지기 때문이다. 만일 어떤 사람이 자신의 사유지 일부를 하나님께 바친다면 희년이 되기 전에는 정해진 값에 20퍼센트를 추가로 내면 무르는 것이 가능하다. 값은 밭의 크기와 다음 희년까지 남은 연수에 따라 결정된다. 희년이 되기 전에 밭을 무르지 못하면 그 밭은 제사장에게 주어져 여호와의 소유가 된다. (( 고든 웬함, 『레위기』 (서울 : 부흥과개혁사, | 밭의 봉헌은 좀 더 복합하다. 왜냐하면 밭은 희년에 원소유자에게 되돌려지기 때문이다. 만일 어떤 사람이 자신의 사유지 일부를 하나님께 바친다면 희년이 되기 전에는 정해진 값에 20퍼센트를 추가로 내면 무르는 것이 가능하다. 값은 밭의 크기와 다음 희년까지 남은 연수에 따라 결정된다. 희년이 되기 전에 밭을 무르지 못하면 그 밭은 제사장에게 주어져 여호와의 소유가 된다. (( 고든 웬함, 『레위기』 (서울 : 부흥과개혁사, | ||
- | (3) 서원에 대한 각종 규정 (27:25-29) | + | **(3) 서원에 대한 각종 규정 (27:25-29)** |
- | **< 각종 규정(25~33절) >** | ||
- | **지불 기준(25절)** | + | - 지불 기준(25절) |
한 세겔은 12그램 정도의 무게를 가졌다. 성소에 바쳐지는 값은 성소의 세겔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위의 책, 389)) | 한 세겔은 12그램 정도의 무게를 가졌다. 성소에 바쳐지는 값은 성소의 세겔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위의 책, 389)) | ||
- | **처음 난 짐승(26~29절)** | + | - 처음 난 짐승(26~29절) |
처음 난 짐승은 자동적으로 하나님께 속하므로 서원을 통해 하나님께 바쳐질 수 없었다. 부정한 동물의 처음 난 것인 경우에 제사자는 그 동물의 값에 20퍼센트를 더해서 그것을 대속할 수 있었다((마크 루커, 『레위기』 (서울 : 부흥과개혁사, | 처음 난 짐승은 자동적으로 하나님께 속하므로 서원을 통해 하나님께 바쳐질 수 없었다. 부정한 동물의 처음 난 것인 경우에 제사자는 그 동물의 값에 20퍼센트를 더해서 그것을 대속할 수 있었다((마크 루커, 『레위기』 (서울 : 부흥과개혁사, | ||
- | **십일조(30~33절)** | + | **2. 십일조 |
+ | |||
+ | - 십일조 규례 (30-33절) | ||
십일조 개념은 율법이 주어지기 전에도 나타나는 관습이다(창 14: | 십일조 개념은 율법이 주어지기 전에도 나타나는 관습이다(창 14: | ||
+ | **3. 레위기의 결론 (27:34)** | ||
+ | |||
+ | 레위기 전체의 결론이자 27장의 결론이다. 앞서 기록된 말씀들이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자손을 위해 모세에게 명령하신 계명임을 명시하고 있다. | ||
+ | |||
**< | **< | ||
줄 116: | 줄 141: | ||
이러한 점에서 구약의 서원의 폐해와 예수 시대의 맹세의 폐해는 서로 마주본다. 그렇기 때문에 예수님은 신자들에게 “몇 마디 말”로 인한 오만불손한 불성실의 멍에를지지 않으려면, | 이러한 점에서 구약의 서원의 폐해와 예수 시대의 맹세의 폐해는 서로 마주본다. 그렇기 때문에 예수님은 신자들에게 “몇 마디 말”로 인한 오만불손한 불성실의 멍에를지지 않으려면, | ||
- | 우리는 이 본문을 통하여 | + | 우리가 이 본문을 통하여 |
- | 월리스의 주장처럼 사람들은 세상일이나 하나님의 일과 관련해서 많은 말과 약속과 다짐을 하지만 자주 자기의 이익은 “극대화”하고 자기의 희생은 “최소화”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 본문은 하나님에 대한 인간의 이기적이며 즉흥적인 태도에 대해서 여전히 큰 교훈을 주고 있다. | + | 월리스의 주장처럼 사람들은 세상 일이나 하나님의 일과 관련해서 많은 말과 약속과 다짐을 하지만 자주 자기의 이익은 “극대화”하고 자기의 희생은 “최소화”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 본문은 하나님에 대한 인간의 이기적이며 즉흥적인 태도에 대해서 여전히 큰 교훈을 주고 있다. |
**1. 십일조는 우리가 하나님께 받은 것을 돌려드리는 마음으로 해야 한다.** | **1. 십일조는 우리가 하나님께 받은 것을 돌려드리는 마음으로 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