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서원과_십일조_27장_1-34절 [2023/11/24 10:40] 211.181.171.254서원과_십일조_27장_1-34절 [2023/11/24 15:42] (현재) – [본문의 내용이 현재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발제자:서하경)] 211.234.199.68
줄 141: 줄 141:
 이러한 점에서 구약의 서원의 폐해와 예수 시대의 맹세의 폐해는 서로 마주본다. 그렇기 때문에 예수님은 신자들에게 “몇 마디 말”로 인한 오만불손한 불성실의 멍에를지지 않으려면, 다만 겸손하고 담대하게 자신의 의견과 입장을 보여야 한다고 말씀하신다.  이러한 점에서 구약의 서원의 폐해와 예수 시대의 맹세의 폐해는 서로 마주본다. 그렇기 때문에 예수님은 신자들에게 “몇 마디 말”로 인한 오만불손한 불성실의 멍에를지지 않으려면, 다만 겸손하고 담대하게 자신의 의견과 입장을 보여야 한다고 말씀하신다. 
  
-우리는 이 본문을 통하여 그것을 일단 입으로 말하게 되면, 그에 따르는 의무와 책임이 따를 수밖에 없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다.  +우리가 이 본문을 통하여 얻게 되는 교훈은 일단 서원을 입으로 말하게 되면, 그에 따르는 의무와 책임이 따를 수밖에 없다는 사실이다.  
-월리스의 주장처럼 사람들은 세상일이나 하나님의 일과 관련해서 많은 말과 약속과 다짐을 하지만 자주 자기의 이익은 “극대화”하고 자기의 희생은 “최소화”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 본문은 하나님에 대한 인간의 이기적이며 즉흥적인 태도에 대해서 여전히 큰 교훈을 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장을 통하여 우리는 하나님의 크신 복을 받는 자로써의 의무와 책임도 생각해야 한다. 그러한 점에서 개인의 욕심이나 야망을 이루기 위해 이 구절이 남용되지 말아야 한다. 결론적으로 이 교훈은 십일조의 규례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성기문. 『키워드로 읽는 레위기』 세움북스 2016. 272-273.)) 십일조에 대한 의미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월리스의 주장처럼 사람들은 세상 일이나 하나님의 일과 관련해서 많은 말과 약속과 다짐을 하지만 자주 자기의 이익은 “극대화”하고 자기의 희생은 “최소화”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 본문은 하나님에 대한 인간의 이기적이며 즉흥적인 태도에 대해서 여전히 큰 교훈을 주고 있다. 이와 같이 우리는 하나님의 크신 복을 받는 자로서 의무와 책임도 분명하게 생각해야 한다. 그러한 점에서 개인의 욕심이나 야망을 이루기 위해 이 구절이 남용되지 말아야 한다. 결론적으로 이 교훈은 십일조의 규례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성기문. 『키워드로 읽는 레위기』 세움북스 2016. 272-273.)) 십일조에 대한 의미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1. 십일조는 우리가 하나님께 받은 것을 돌려드리는 마음으로 해야 한다.** **1. 십일조는 우리가 하나님께 받은 것을 돌려드리는 마음으로 해야 한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