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2024고대근동문학:예언:성경본문과의_유사성_및_차이점 [2024/05/20 11:27] – [김경찬] kungsik | 2024고대근동문학:예언:성경본문과의_유사성_및_차이점 [2024/05/20 13:45] (현재) – [오현택] 211.181.171.254 | ||
---|---|---|---|
줄 4: | 줄 4: | ||
==== 오현택 ==== | ==== 오현택 ==== | ||
- | 공통점: 앗시리아 문헌과 이사야서는 | + | 공통점: 앗시리아 문헌과 이사야서는 예언으로 초월자에게 뜻을 구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
차이점 | 차이점 | ||
줄 20: | 줄 20: | ||
차이점: 차이점은 신에 대한 관점으로 분명하게 나타난다. 앗수르 국가 기록물로부터 알 수 있는 예언의 특징은 왕정 중심의 이데올로기를 가지고 왕권의 안정과 번영, 축복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왕이 신과 같은 메시아적 특징을 내포하고 있다.((김경식, | 차이점: 차이점은 신에 대한 관점으로 분명하게 나타난다. 앗수르 국가 기록물로부터 알 수 있는 예언의 특징은 왕정 중심의 이데올로기를 가지고 왕권의 안정과 번영, 축복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왕이 신과 같은 메시아적 특징을 내포하고 있다.((김경식, | ||
+ | ==== 방예찬 ==== | ||
+ | |||
+ | 공통점 : 성서 이사야서와 앗수르 국가 기록물 사이의 공통점으로는 두 기록물 모두 다 유사한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사야서도 그 당시 유다가 주변 나라들에게 처한 어려운 상황 속에서 그 위협에 대한 전능자의 예언에 대해서 다루고 있고 앗수르 문헌 또한 그 국가의 어려운 상황 속에서 그 위협에 대해서 전능자(이쉬타르)의 약속과 신탁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 ||
+ | |||
+ | 차이점 : 가장 큰 차이점으로는 이사야서의 신탁은 그 당시 주변의 모든 강대국들도 하나님의 주권 아래에 있는 도구이며 결국 신탁을 통해서 하나님의 주권을 다시 바라보게 하고자 하지만 에살핫돈의 신탁은 ' | ||
==== 신왕철 ==== | ==== 신왕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