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2024고대근동문학:예언 [2024/05/20 20:11] – [에살핫돈의 왕위 계승 배경] 신왕철2024고대근동문학:예언 [2024/05/27 13:50] (현재) – [예언] kungsik
줄 1: 줄 1:
-====== 예언 ====== 
  
-로그인 후에 편집 버튼을 누르면 편집이 가능합니다. 편집은 각 큰 제목 단위별로 나눠져 있습니다. 편집 버튼을 누른 이후에 위 혹은 아래에 내용을 추가하면 됩니다. 다른 사람이 편집하고 있을 경우에는 중복 작업을 방지하기 위해 편집이 일시적으로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워드나 메모장에 작성했다가 붙여넣기를 하는 방식을 추천합니다. 
- 
- 
-  간단한 태그 사용법  
-   
-  ===== 큰 제목 ===== (제목 양 옆 = 의 개수로 제목 크기 설정) 
-   
-  ==== 작은 제목 ==== 
-   
-  ((각주 내용)) (*각주 내용는 괄호 두 개 사이에 기입) 
-   
-    * 항목 (•가 부가된 항목 표기는 스페이스 두칸을 주고 * 표시) 
-   
-  > 인용문 (들여쓰기가 된 인용문 표기는 > 를 앞에 붙임) 
-   
-  두 칸의 공백을 넣으면 단락이 회색 상자 안에 들어가게 됨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d/d1/Ishtar_of_Arbela_Neo-Assyrian_cylinder_seal.png/1280px-Ishtar_of_Arbela_Neo-Assyrian_cylinder_seal.png?600x0}}
 +아르벨라의 이쉬타르
 ===== 문헌의 역사적 배경 (신왕철) ===== ===== 문헌의 역사적 배경 (신왕철) =====
  
줄 144: 줄 129:
 ==== 성서 연구에 있어 이 문헌이 중요한 이유 ==== ==== 성서 연구에 있어 이 문헌이 중요한 이유 ====
  
-성서와 고대 근동 문학에서 나타나는 예언자들의 메시지는 중요했다. 왕의 비문 가운데 "선지자들의 메시지가 언급되었고, 서기관들은 예언자들의 신탁을 인용하며 적합한 주장을 펼쳤다. 예언자들의 예언들은 왕의 서신, 제의적 문헌, 행정 문헌과 같은 문헌들에 전달되기도 했다. 이를 비추어 볼 때에 예언자들은 왕의 제의적 직무와 정치를 언급하며, 각 나라의 정치적 상황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조나단 S. 그리어,존 W. 힐버,존 H. 월튼, 『고대 근동 문화와 구약의 배경』, CLC, (2020), 616p.)) +성서와 고대 근동 문학에서 나타나는 예언자들의 메시지는 중요했다. 왕의 비문 가운데 선지자들의 메시지가 언급되었고, 서기관들은 예언자들의 신탁을 인용하며 적합한 주장을 펼쳤다. 예언자들의 예언들은 왕의 서신, 제의적 문헌, 행정 문헌과 같은 문헌들에 전달되기도 했다. 이를 비추어 볼 때에 예언자들은 왕의 제의적 직무와 정치를 언급하며, 각 나라의 정치적 상황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조나단 S. 그리어,존 W. 힐버,존 H. 월튼, 『고대 근동 문화와 구약의 배경』, CLC, (2020), 616p.)) 
  
 성서와 고대 근동 문학의 예언자들은 공통점이 존재한다. 모두 다 상징적 예언의 행동을 하며 영감을 얻고 그 영감 속에서 신과 회의를 했음을 주장하며 이를 바탕으로 왕에게 훈계를 한다. 하지만 가장 큰 차이점 바로 신관으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성서의 예언자들은 유일신 사상으로 하나님의 이름으로 예언을 선포했다. 반면에 고대 근동 문학에 나오는 예언자들은 다른 신들을 반대하지 않고 다신론적 신관으로 여러 신을 대변한다. 또한 그들의 예언은 왕권을 뒷받침하려는 정치적 목적으로 쓰이기도 했다. 이는 특징에서 더 자세히 다루어 볼 것이다. 성서와 고대 근동 문학의 예언자들은 공통점이 존재한다. 모두 다 상징적 예언의 행동을 하며 영감을 얻고 그 영감 속에서 신과 회의를 했음을 주장하며 이를 바탕으로 왕에게 훈계를 한다. 하지만 가장 큰 차이점 바로 신관으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성서의 예언자들은 유일신 사상으로 하나님의 이름으로 예언을 선포했다. 반면에 고대 근동 문학에 나오는 예언자들은 다른 신들을 반대하지 않고 다신론적 신관으로 여러 신을 대변한다. 또한 그들의 예언은 왕권을 뒷받침하려는 정치적 목적으로 쓰이기도 했다. 이는 특징에서 더 자세히 다루어 볼 것이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