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2024고대근동문학:이집트의_종교와_문화 [2024/05/05 18:59] – [우주관] kungsik | 2024고대근동문학:이집트의_종교와_문화 [2024/05/07 18:21] (현재) – [창조(헬리오폴리스 창조 신화)] kungsik | ||
---|---|---|---|
줄 33: | 줄 33: | ||
고대 이집트의 정치, 사회와 문화 등은 강력한 종교적 기반위에 세워졌기 때문에 고대 이집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대 이집트 신화와 종교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 고대 이집트의 정치, 사회와 문화 등은 강력한 종교적 기반위에 세워졌기 때문에 고대 이집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대 이집트 신화와 종교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 ||
- | {{url>https:// | + | 이집트 신들의 목록(영국 박물관) |
+ | |||
+ | [[https:// | ||
==== 우주관 ==== | ==== 우주관 ==== | ||
줄 56: | 줄 58: | ||
이 외에도 멤피스 창조신화가 있는데 이 신화에서는 Ptah가 모든 신들과 만물을 창조한 신으로 등장한다. 프타는 이 신화에서 마음과 말을 통해 창조 행위를 하고 있다. 흥미로운 점은 Ptah에게서 만들어진 신은 Ptah의 형상으로 지어졌음을 언급하고 있다. | 이 외에도 멤피스 창조신화가 있는데 이 신화에서는 Ptah가 모든 신들과 만물을 창조한 신으로 등장한다. 프타는 이 신화에서 마음과 말을 통해 창조 행위를 하고 있다. 흥미로운 점은 Ptah에게서 만들어진 신은 Ptah의 형상으로 지어졌음을 언급하고 있다. | ||
- | 이집트의 창조 신화에서는 물, 태양, 언덕(Benben석. 태초의 물 위에서 솟은 피라미드 모양의 돌) 등의 세 가지 요소가 항상 함께 등장한다. 이집트에서 매년 계속에는 홍수가 일어난다. 그리고 이 물로 인해 작물이 자라난다. 태초의 언덕에서 물이 흘러나오는 모티프는 바로 창조의 처음 상태를 의미한다. | + | 이집트의 창조 신화에서는 물, 태양, 언덕([[https:// |
+ | |||
+ | {{https:// | ||
+ | (British Museum) | ||
+ | |||
+ | *이집트 창조 신화에 나타나는 아홉 신(Ennead). 고대 이집트에서 9는 3의 배수로 완전한 수를 의미함. | ||
+ | 위 왼쪽에서부터 Atum, Tefnut, Nut(엎드린 자세), Shu(Nut를 받치고 있음), Geb(누워 있음) | ||
+ | 아래 왼쪽으로부터 Osiris(녹색은 죽음을 의미), Isis, Seth, Nephthys | ||
+ | |||
+ | {{https:// | ||
+ | |||
+ | 호루스 신 | ||
==== Osiris 신화 ==== | ==== Osiris 신화 ==== | ||
줄 67: | 줄 81: | ||
이집트 18왕조의 왕이었던 아케나텐(Akhenaten, | 이집트 18왕조의 왕이었던 아케나텐(Akhenaten, | ||
+ | |||
+ | |||
+ | ===== 성서와 이집트 (출애굽) ===== | ||
+ | |||
+ | ==== 바로의 완고함 ==== | ||
+ | |||
+ | 성서와 이집트 종교와의 관계성에 대해 출애굽 모티프에 집중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출애굽 과정은 모세와 바로의 협상으로부터 시작하는데, | ||
+ | |||
+ | 내가 아노니 강한 손으로 치기 전에는 애굽 왕이 너희가 가도록 허락하지 아니하다가 내가 내 손을 들어 애굽 중에 여러 가지 이적으로 그 나라를 친 후에야 그가 너희를 보내리라 (출애굽기 3:19-20) | ||
+ | |||
+ | 내가 바로의 마음을 완악하게 하고 내 표징과 내 이적을 애굽 땅에서 많이 행할 것이나 바로가 너희의 말을 듣지 아니할 터인즉 내가 내 손을 애굽에 뻗쳐 여러 큰 심판을 내리고 내 군대, 내 백성 이스라엘 자손을 그 땅에서 인도하여 낼지라 (출애굽기 7:3-4) | ||
+ | |||
+ | 위와 같은 구절들은 바로가 순순히 이스라엘 백성들을 내보내지 않을 것이라는 마음을 먹은 이유가 바로 하나님의 계획이라 설명한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모든 것을 다 하실 수 있음을 나타내는 표현이기도 하지만, 원어 표현을 보면 흥미로운 점을 발견할 수 있다. | ||
+ | |||
+ | וַאֲנִי אַקְשֶׁה אֶת־לֵב פַּרְעֹה | ||
+ | |||
+ | 위 구절의 표현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 ||
+ | |||
+ | {{https:// | ||
+ | |||
+ | 파라오의 단단해진 심장은 자신이 섬기는 이집트 신들로부터도 인정받지 못하는 악한 존재가 되었다는 조롱과 동시에, 히브리인들을 억압한 대가로 인간의 고유한 자유의지가 하나님에 의해 박탈당해 버렸음을 의미한다. ' | ||
+ | |||
+ | |||
+ | ==== 10가지 재앙과 이집트의 신들 ==== | ||
+ | |||
+ | 그리고 애굽에 내린 10가지 재앙들은 다음의 표에서와 같이 이집트의 신들에 대한 폴레믹으로 여겨진다. 출애굽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은 곧 이집트의 신들이 허황된 우상에 불과하며 어떠한 힘도 없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 ||
+ | |||
+ | | 재앙 | 예고 | ||
+ | | 1 | 나일강이 피로 변함 | 아침에 경고 | ||
+ | | 2 | 개구리 | ||
+ | | 3 | 이 | 경고없음 | ||
+ | | 4 | 파리 | ||
+ | | 5 | 가축 병 | 경고 | ||
+ | | 6 | 악성종기 | ||
+ | | 7 | 우박 | ||
+ | | 8 | 메뚜기 | ||
+ | | 9 | 암흑 | ||
+ | | 10 | 장자의 죽음 | ||
+ | |||
+ |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나일강에서 시작된 재앙이 땅과 하늘로 옮겨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애굽 창조 신화의 배경이 되는 모든 영역에 하나님의 재앙이 미치고 있는 것이다. | ||
+ | |||
+ | |||
+ | ==== 전차 부대의 부서진 바퀴 ==== | ||
+ | |||
+ | 고대 전쟁에서 전차는 전쟁의 성패를 좌우할 정도로 핵심적인 전력이었다. 전형적인 ' | ||
+ | |||
+ | 그들의 병거 바퀴를 벗겨서 달리기가 어렵게 하시니 애굽 사람들이 이르되 이스라엘 앞에서 우리가 도망하자 여호와가 그들을 위하여 싸워 애굽 사람들을 치는도다 (출애굽기 14:25) | ||
+ | |||
+ | 이를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 이에 대한 직접적인 근거는 이집트 문헌에서는 나타나지 않지만 메소포타미아 문헌에서 전차 바퀴가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점을 치는 징조 문서가 발견되었다. 전차의 바퀴가 빠지거나 부서지는 것은 단순한 사고가 아니라 신들의 경고로 받아들였던 것이다. 이집트 군 역시, 전차 바퀴가 부서지거나 제대로 굴러가지 않는 것을 보면서 여호와 하나님이 자신들을 대적한다고 말하고 있다. | ||
+ | |||
+ | |||
+ | [참고] | ||
+ | If a City Is Set on a Height: The Akkadian Omen Series Šumma Alu ina Mele Šakin, vol.3; Tablets 41-63 (2017, Eisenbrauns), | ||
+ | |||
+ | {{https:// | ||
+ | |||
+ | ==== 이스라엘과 람세스 ==== | ||
+ | |||
+ | Joshua Berman은 출애굽의 역사성을 설명하기 위해 매우 흥미로운 제안을 하고 있다. 그는 람세스의 군대와 히타이트 군대가 맞붙었던 가데스 전투(기원전 1274년 경) 장면의 묘사와 기록이 출애굽기에 나타난 이스라엘의 진영과 매우 유사함을 제시하고 있다. 그는 이러한 현상이 출애굽이 람세스의 전쟁 이야기를 모사한 허구가 아니라, 오히려 그 반대로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히브리인들은 람세스의 치적과 유사한 형태로 출애굽 이야기를 재구성함으로 당시 고대 근동 세계의 최고 권력자로 군림했던 람세스의 권위를 격하시키고, | ||
+ | |||
+ | {{https:// | ||
+ | |||
+ | [[https://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