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다음 판 | 이전 판 | ||
2024고대근동문학:전쟁_보고문:성경본문과의_유사성_및_차이점 [2024/05/10 15:18] – 만듦 kungsik | 2024고대근동문학:전쟁_보고문:성경본문과의_유사성_및_차이점 [2024/05/13 09:46] (현재) – 211.178.206.128 | ||
---|---|---|---|
줄 1: | 줄 1: | ||
===== 성서 본문과의 유사성 및 차이점 (전쟁 보고문) ===== | ===== 성서 본문과의 유사성 및 차이점 (전쟁 보고문) ===== | ||
+ | |||
+ | |||
+ | ===오예문=== | ||
+ | |||
+ | 유사점 | ||
+ | |||
+ | 산헤립의 701년 서부 군사 작전과 열왕기하에서 보여지는 유사점에 대해 먼저 이야기하자면 동일한 사건에 대한 내러티브, | ||
+ | |||
+ | 차이점 | ||
+ | |||
+ | 산헤립 문서와 성경의 차이는 겉으로 보여지는 몇가지 점들은 아카드어, | ||
+ | |||
+ | 14절에서는 유다의 왕 히스기야가 산헤립에게 사람을 보내어 조공을 바치게 되는 구간이다. 여기도 마찬가지로 산헤립의 문서가 더 자세한 것을 볼 수 있다. 내가 약탈했던 그의 성읍들을 그의 손에서 빼앗아 아스돗의 왕 미틴니, 에그론의 왕 바디, 가자의 왕 실리 벨에게 주었고 따라서 그의 땅을 축소시켰다. 나는 그를 통치하는 지배권에 대해 매년 지불하는 이전 조공 외에도 세금과 선물을 부과했다. 히스기야, | ||
+ | |||
+ | 열왕기하에서는 히스기야가 산헤립에게 범죄하였음을 인정하며 산헤립이 요구하는 양의 조공을 바치겠다 선언하는데 산헤립이 요구하는 양은 은 삼백달란트와 금 삼십 달란트로 보여진다. 그러나 산헤립의 문서에는 은금 뿐 아니라 다양한 것들이 바쳐졌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전리품으로 챙겼다고 하는 200, | ||
+ | |||
===이정석=== | ===이정석=== | ||
줄 17: | 줄 33: | ||
이러한 유사성과 차이점은 두 문화권의 기록 방식과 목적, 신앙적 배경이 어떻게 역사적 사실을 다르게 해석하고 기록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이는 고대 역사를 연구할 때 각기 다른 출처를 비교하며 보다 넓은 관점에서 사건을 이해하는 중요한 방법론적 접근이다. | 이러한 유사성과 차이점은 두 문화권의 기록 방식과 목적, 신앙적 배경이 어떻게 역사적 사실을 다르게 해석하고 기록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이는 고대 역사를 연구할 때 각기 다른 출처를 비교하며 보다 넓은 관점에서 사건을 이해하는 중요한 방법론적 접근이다. | ||
+ | |||
+ | === 함형진 === | ||
+ | |||
+ | 열왕기하 본문과 산헤립의 본문은 큰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물론 열왕기하 A기사는 산헤립 전쟁보고문 결말과 비슷하지만, | ||
+ | |||
+ | 삼국지 게임을 하다가도 대군을 이끌고 남방을 정벌할 때, 엄청난 준비가 필요하다. 하물며 고대 전쟁에서 대군을 한번 더 일으켰다는 것은 산헤립의 정치적 생명과, 혹은 바벨론과 같은 패권의 전쟁이 아닌 이상 이해가 되기 어렵다. 남유다는 아쉽게도 패권국가와는 거리가 멀었다. 그렇다면 만약 한 번의 침략이었다면, | ||
+ | |||
+ | 하지만, 확실한 것은 산헤립이 예루살렘을 무너뜨리지 못했고, 산헤립의 최후는 비참했다. | ||
+ | |||
+ | 고대의 역사 기록은 팩트의 기록으로 보긴 어렵다. 하지만 이렇게 교차 검증이 되는 본문은 매우 귀하고, 연구 가치가 충분하다. 교차 검증에도 불구하고 변형되고, | ||
+ | |||
+ | |||
+ | ===황시언=== | ||
+ | |||
+ | 유사점 | ||
+ | |||
+ | 모종의 이유로 히스기야가 앗수르에 대항하여 이집트와 군사적 동맹을 맺으려 했다는 점과 그것이 산헤립의 심기를 건드렸다는 점, 산헤립이 이집트의 지원군을 부수고, 히스기야의 뉘우침과 막대한 조공을 거둔 점, 그것이 모자랐는지 다시 돌아와 예루살렘을 포위하고 46개의 지역을 점령한 점, 마지막으로 귀환 후 아들에게 살해 당한 점이 성서 문헌과 고대 전쟁 보고문의 유사점이다. | ||
+ | |||
+ | 차이점 | ||
+ | |||
+ | 구약 성서는 전쟁 보고문에 나오지 않은 185,000의 이유를 알 수 없는 죽음과 패배자처럼 좌절하여 돌아가는 산헤립을 묘사한다. 그리고 그것은 그의 죽음까지 이어진다. 구약 성서는 산헤립의 죽음의 앞뒤로 야훼 하나님의 손길을 묘사한다. 히스기야의 정직함을 받아, 하나님을 모욕하는 산헤립을 치는 이스라엘의 야훼이다. 가히 그것은 '이 전쟁은 너희에게 속한 것이 아니요, 하나님께 속한 것이니라 (역대하 2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