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2024고대근동문학:전쟁_보고문:성경본문과의_유사성_및_차이점 [2024/05/13 04:02] 함형진_22024고대근동문학:전쟁_보고문:성경본문과의_유사성_및_차이점 [2024/05/13 09:46] (현재) 211.178.206.128
줄 43: 줄 43:
  
 고대의 역사 기록은 팩트의 기록으로 보긴 어렵다. 하지만 이렇게 교차 검증이 되는 본문은 매우 귀하고, 연구 가치가 충분하다. 교차 검증에도 불구하고 변형되고, 과장되는 이야기들이 있을 수 밖에 없다. (왜냐하면 각 이익이 되는 입장으로 서술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히스기야와 산헤립의 내용이 상당 부분 일치하는 것은 (바친 공물의 수, 예루살렘 포위, 물러감) 엄청난 역사적 의의가 있다는 것이다.   고대의 역사 기록은 팩트의 기록으로 보긴 어렵다. 하지만 이렇게 교차 검증이 되는 본문은 매우 귀하고, 연구 가치가 충분하다. 교차 검증에도 불구하고 변형되고, 과장되는 이야기들이 있을 수 밖에 없다. (왜냐하면 각 이익이 되는 입장으로 서술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히스기야와 산헤립의 내용이 상당 부분 일치하는 것은 (바친 공물의 수, 예루살렘 포위, 물러감) 엄청난 역사적 의의가 있다는 것이다.  
 +
 +
 +===황시언===
 +
 +유사점
 +
 +모종의 이유로 히스기야가 앗수르에 대항하여 이집트와 군사적 동맹을 맺으려 했다는 점과 그것이 산헤립의 심기를 건드렸다는 점, 산헤립이 이집트의 지원군을 부수고, 히스기야의 뉘우침과 막대한 조공을 거둔 점, 그것이 모자랐는지 다시 돌아와 예루살렘을 포위하고 46개의 지역을 점령한 점, 마지막으로 귀환 후 아들에게 살해 당한 점이 성서 문헌과 고대 전쟁 보고문의 유사점이다.
 +
 +차이점
 +
 +구약 성서는 전쟁 보고문에 나오지 않은 185,000의 이유를 알 수 없는 죽음과 패배자처럼 좌절하여 돌아가는 산헤립을 묘사한다. 그리고 그것은 그의 죽음까지 이어진다. 구약 성서는 산헤립의 죽음의 앞뒤로 야훼 하나님의 손길을 묘사한다. 히스기야의 정직함을 받아, 하나님을 모욕하는 산헤립을 치는 이스라엘의 야훼이다. 가히 그것은 '이 전쟁은 너희에게 속한 것이 아니요, 하나님께 속한 것이니라 (역대하 20:15)'을 보여주는 듯하다. 산헤립이 예루살렘을 숨 막히게 포위했음에도, 남유다를 정복하지 못한 점과 히스기야를 살려둔 점, 막강한 왕 산헤립이 돌아가서 아들에게 죽은 점은 의문으로 남겨졌다. 그것을 이스라엘 백성들은 야훼 하나님의 구원하심으로 해석한 것이다. 고대 문헌과 성서 문헌의 비교는 성서 문헌의 해석을 신학적으로 다양한 길을 열어준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