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2024고대근동문학:지혜문학:성경본문과의_유사성_및_차이점 [2024/05/26 22:10] – [탁윤제] jangmoses | 2024고대근동문학:지혜문학:성경본문과의_유사성_및_차이점 [2024/05/27 12:25] (현재) – [3. ??(???)] 14.39.159.184 | ||
---|---|---|---|
줄 1: | 줄 1: | ||
====== 성서 본문과의 유사성과 차이점 ====== | ====== 성서 본문과의 유사성과 차이점 ====== | ||
- | ===== 1. 탁윤제 ===== | + | ===== 1. 성서 본문과의 유사성과 차이점(탁윤제) ===== |
- | 지혜문학은 자서전들과 마찬가지로 고대 이집트 역사가 지속되는 동안 언제나 존재해 왔으며, 고왕국 시대에 시작해 기원후가 될 때까지 계속 창작된 문학 양식이다. 이런 작품들은 고대부터 한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해져 내려온 전통에 기초하고 있으며, 고대 문학 작품에 인용되는 경우도 많지만, 언제나 새로운 해석을 통해 새로워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 | 지혜문학은 자서전들과 마찬가지로 고대 이집트 역사가 지속되는 동안 언제나 존재해 왔으며, 고왕국 시대에 시작해 기원후가 될 때까지 계속 창작된 문학 양식이다. 이런 작품들은 고대부터 한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해져 내려온 전통에 기초하고 있으며, 고대 문학 작품에 인용되는 경우도 많지만, 언제나 새로운 해석을 통해 새로워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 | 애굽은 이스라엘과 밀접한 관련을 맺은 나라이다. 시대에 따라서 정치적으로 지배한 때도 있었고, 애굽의 문화적인 영향이 문학적으로, | + | 애굽은 이스라엘과 밀접한 관련을 맺은 나라이다. 시대에 따라서 정치적으로 지배한 때도 있었고, 애굽의 문화적인 영향이 문학적으로, |
- | 애굽의 모든 문학작품들 가운데 가장 많이 읽혀지는 고전은 역시 지혜문학들이다. 그들의 가르침은 대개 아버지가 아들에게 주는 충고의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 + | 애굽의 모든 문학작품들 가운데 가장 많이 읽혀지는 고전은 역시 지혜문학들이다. 그들의 가르침은 대개 아버지가 아들에게 주는 충고의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
- | 애굽의 지혜문학은 성경의 지혜문학과 같이 누군가를 가르치고 교육하기 위해 기록한 교훈적 지혜문학과 철학적 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기록한 이론적 지혜문학으로 나눌 수 있다. 이집트의 지혜문학 작품으로 약 서른 편 정도의 작품이 남아 있다. | + | |
- | 잠언은 고대 근동의 다른 지혜문학과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애굽과 메소포타미아의 지혜는 어느 특수한 계급을 위한 교훈을 넘어서고 단순한 예법이나 슬기로운 규칙을 넘어서 누구에게나 보편적으로 해당하는 윤리의 절정에 도달하고 있다. 즉, 사기, 중상모략, | + | 애굽의 지혜문학은 성경의 지혜문학과 같이 누군가를 가르치고 교육하기 위해 기록한 교훈적 지혜문학과 철학적 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기록한 이론적 지혜문학으로 나눌 수 있다. 이집트의 지혜문학 작품으로 약 서른 편 정도의 작품이 남아 있다. |
- | 잠언은 지혜 문학에 속하며, 시 형태로 된 실제 생활의 요령을 가르치는 격언집이다. 그러나 단순한 격언이 아니라 신앙과 모세의 율법에 입각하여 하나님의 선민에게 생활의 지침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므로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이 지식의 근본이라”(1: | + | |
+ | 잠언은 고대 근동의 다른 지혜문학과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애굽과 메소포타미아의 지혜는 어느 특수한 계급을 위한 교훈을 넘어서고 단순한 예법이나 슬기로운 규칙을 넘어서 누구에게나 보편적으로 해당하는 윤리의 절정에 도달하고 있다. 즉, 사기, 중상모략, | ||
+ | 잠언은 지혜 문학에 속하며, 시 형태로 된 실제 생활의 요령을 가르치는 격언집이다. 그러나 단순한 격언이 아니라 신앙과 모세의 율법에 입각하여 하나님의 선민에게 생활의 지침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므로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이 지식의 근본이라”(1: | ||
고대 근동의 지혜문학들의 공통된 표현과 잠언과의 유사점으로는, | 고대 근동의 지혜문학들의 공통된 표현과 잠언과의 유사점으로는, | ||
+ | |||
1) 말씀에의 경청 2) 약자에 대한 조롱금지 3) 선(善)을 행함에 대한 요구 4) 이방 여인과 음녀에 대한 경계 5) 대적자에 대한 사랑 6) 거짓말과 중상모략에 대한 금지 7) 말(言)의 절제 8) 정의에 대한 왜곡금지이다. | 1) 말씀에의 경청 2) 약자에 대한 조롱금지 3) 선(善)을 행함에 대한 요구 4) 이방 여인과 음녀에 대한 경계 5) 대적자에 대한 사랑 6) 거짓말과 중상모략에 대한 금지 7) 말(言)의 절제 8) 정의에 대한 왜곡금지이다. | ||
+ | |||
차이점으로는, | 차이점으로는, | ||
+ | |||
1) 잠언 22:17-23:11 중에서도 비교되지 않는 본문이 나타난다.(잠 22:19; 22:23; 22:26-27) | 1) 잠언 22:17-23:11 중에서도 비교되지 않는 본문이 나타난다.(잠 22:19; 22:23; 22:26-27) | ||
2) 두 비교 본문에서 서로의 문맥이 완전히 다른 구절이 있다.(잠 22:24-25, 아멘엠오페 11:15-18, 13:8-9; 잠 23:6-7, 아멘엠오페 14:5-10;잠 23:9, 아멘엠오페 22:11-12) | 2) 두 비교 본문에서 서로의 문맥이 완전히 다른 구절이 있다.(잠 22:24-25, 아멘엠오페 11:15-18, 13:8-9; 잠 23:6-7, 아멘엠오페 14:5-10;잠 23:9, 아멘엠오페 22:11-12) | ||
3) 잠언 30장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짧고 간결한 잠언들임에 비해서 아멘 엠오페 교훈은 대체로 긴 문장들과 강화체들로 구성되어 있다. | 3) 잠언 30장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짧고 간결한 잠언들임에 비해서 아멘 엠오페 교훈은 대체로 긴 문장들과 강화체들로 구성되어 있다. | ||
- | | + | 잠언 22: |
+ | |||
+ | |||
+ | |||
+ | ===== 2. 도덕과 윤리, 유일신과 다신(장모세) ===== | ||
+ | 아메네모페의 가르침에서는 주로 거짓이 없고, 속이지 않는 정직함과, | ||
+ | |||
+ | 차이점은 이집트의 여러신이 있으며(레-태양신, | ||
+ | ===== 3.잠언과 아메네모페의 가르침의 유사성과 차이점(이준열) ===== | ||
+ | 잠언 22장 17절과 아메네모페의 가르침 1장의 전체적인 내용은 유사하다. | ||
+ | |||
+ | |||
+ | 잠언 22장 17-18절 | ||
+ | |||
+ | 너는 귀를 기울여 지혜 있는 자의 말씀을 들으며 내 지식에 마음을 둘지어다. 이것을 네 속에 보존하며 네 입술 위에 함께 있게 함이 아름다우니라.이것을 네 속에 보존하며 네 입술 위에 함께 있게 함이 아름다우니라 | ||
+ | |||
+ | 아메네포페의 가르침 1장 | ||
+ | |||
+ | 귀를 기울이고 말한 것을 들으라. | ||
+ | 그것들을 이해하려고 당신의 마음을 기울여라. | ||
+ | 그덧들을 당신의 마음에 두는게 유익하다. | ||
+ | 하지만 그것들을 무시하는 자에게는 화가 있으리로다! | ||
+ | 당신의 마음의 열쇠가 되도록 하여, | ||
+ | 당신의 배의 성스러운 용기에 그것들이 머물게 하라. | ||
+ | 이제 말의 폭풍이 왔을 때, | ||
+ | 그것들이 당신의 혀에 있는 정신적 지주가 될 것이다. | ||
+ | 만약 당신이 이것들을 네 마음에 두고 평생을 보낸다면, | ||
+ | 당신이 이것이 선한 행운이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 ||
+ | 당신의 내 말이 삶의 보물창고라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 ||
+ | 그리고 당신의 몸은 땅에서 번성할 것이다 | ||
+ | |||
+ | 잠언 22장 17-18절과 아메네모페 1장은 지혜자의 말에 귀 기울일 것을 권면한다. 그리고 이 권면을 시행했을 때 좋은 결과가 일어남을 결론으로 맺는다. 두 문헌 모두 지혜가 좋은 결과로 이어진다는 결론, 즉 지혜의 필요함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유사점과 함께 내용에서 차이점을 보이는 것은 아메네모페 문장에 있던 표현들이 잠언에서는 많이 생략되어다는 것이다. 아메네모페 1장에서는 지혜를 따르지 않을 때의 부정적인 결과에 대해 암시하고 있다면 잠언은 이러한 내용이 생략된체 지혜를 따르는 것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만을 보여주고 있다. | ||
+ | 유사점을 가지고 시작한 잠언과 아메네모페는 내용이 전개될 수록 결론의 차이점을 보여준다. 뒤이어 나온 내용들에서 아메네포네의 지혜을 따르는 것이 개인의 번영과 관련된 것으로 귀결된다면 잠언은 야훼 하나님을 따르는 것 그 자체가 지혜의 목적이라고 귀결시킨다. | ||
+ | 두 문헌의 표현과 내용면에서 유사한 형태를 보이지만 결국 두 문헌의 지향점은 다르다. 잠언은 야훼 하나님이 지혜의 근본임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아메네모페는 지혜자의 말을 듣고 지혜를 따라 사는 삶이 번영의 길이라는 것을 말해주려 하고 있다. | ||
+ | | ||
- | ===== 2. ??(???) ===== | ||
- | ===== 3. ??(???) ===== | ||
===== 4. 잠언 3장과 아메네모페의 가르침 1, 3장 비교분석(배형서) ===== | ===== 4. 잠언 3장과 아메네모페의 가르침 1, 3장 비교분석(배형서) ===== | ||
==== 잠언 3장 ==== | ==== 잠언 3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