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2024고대근동문학:지혜문학 [2024/05/26 21:32] – [1) 가르침(תּוֹרָה)] james0034 | 2024고대근동문학:지혜문학 [2024/06/03 12:48] (현재) – [아메네모페] dntnek123 | ||
---|---|---|---|
줄 1: | 줄 1: | ||
- | ====== 지혜문학 ====== | ||
- | |||
- | 로그인 후에 편집 버튼을 누르면 편집이 가능합니다. 편집은 각 큰 제목 단위별로 나눠져 있습니다. 편집 버튼을 누른 이후에 위 혹은 아래에 내용을 추가하면 됩니다. 다른 사람이 편집하고 있을 경우에는 중복 작업을 방지하기 위해 편집이 일시적으로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워드나 메모장에 작성했다가 붙여넣기를 하는 방식을 추천합니다. | ||
- | |||
- | |||
- | 간단한 태그 사용법 | ||
- | | ||
- | ===== 큰 제목 ===== (제목 양 옆 = 의 개수로 제목 크기 설정) | ||
- | | ||
- | ==== 작은 제목 ==== | ||
- | | ||
- | ((각주 내용)) (*각주 내용는 괄호 두 개 사이에 기입) | ||
- | | ||
- | * 항목 (•가 부가된 항목 표기는 스페이스 두칸을 주고 * 표시) | ||
- | | ||
- | > 인용문 (들여쓰기가 된 인용문 표기는 > 를 앞에 붙임) | ||
- | | ||
- | 두 칸의 공백을 넣으면 단락이 회색 상자 안에 들어가게 됨 | ||
- | | ||
===== 1. 문헌의 역사적 배경(탁윤제) ===== | ===== 1. 문헌의 역사적 배경(탁윤제) ===== | ||
==== 고대 근동의 지혜 ==== | ==== 고대 근동의 지혜 ==== | ||
줄 49: | 줄 30: | ||
==== 아메네모페의 가르침 ==== | ==== 아메네모페의 가르침 ==== | ||
*이 문헌은 주전 6세기, 제21왕조(1069-945) 시기의 사본 단편으로 보거나, 또는 신 왕국 직전의 마지막 시기로 보기도 한다. 이 문헌이 발견 된 장소는 가장 완벽한 사본으로 아크밈(아비드소의 북쪽)에서 나왔으며, | *이 문헌은 주전 6세기, 제21왕조(1069-945) 시기의 사본 단편으로 보거나, 또는 신 왕국 직전의 마지막 시기로 보기도 한다. 이 문헌이 발견 된 장소는 가장 완벽한 사본으로 아크밈(아비드소의 북쪽)에서 나왔으며, | ||
- | < | ||
- | 1장: 마음으로 귀를 기울이고 말한 것을 들으라. 그것을 무시하면 화가 있고, 그것을 머물게 할 경우 선한 행운과 번성이 따를 것이다. | ||
- | 2장: 악을 버리라, 그가 보응을 당하리라. 선을 행하라. 비참한 자의 것 훔치지 말고, 부룩자 노하게 하지 말고.. 등등 | + | < |
- | 3장: 논쟁하는 자와 싸움에 휘말리지 말고, 대적자 앞에서 신중하고 양보하라, 말하기 전 생각하고, | + | 1장: 마음으로 귀를 기울이고 |
- | 4장: 사원에 있는 성급한 사람은 얼마 못가 끝나고 말 것이다. 참으로 잠잠한 사람은 많은 열매를 맺으며, 끝에 도달할 | + | 2장: 악을 버리라, 그가 보응을 당하리라. 선을 행하라. 비참한 |
- | 5장: 사원의 종의 것을 빼앗지 | + | 3장: 논쟁하는 자와 싸움에 휘말리지 말고, 대적자 앞에서 |
- | 6장: 경작지를 탐내지 말고, 땅 한 규빗을 탐내지 말고 과부의 경계를 탐내지 | + | 4장: 사원에 있는 성급한 사람은 얼마 못가 끝나고 말 것이다. |
- | 7장: 부를 추구하거나, | + | 5장: 사원의 종의 것을 빼앗지 말라, |
- | 8장: 모든 사람이 당신에게 인사하도록 행동을 세계에 보여라, 그것들이 우라에우스(바로 머리 장식 위에 있는 뱀)를 기쁘게 하며, 아포피스(이집트 지하 세계의 삼키는 큰 뱀)에게 침을 뱉는다. 비난하는 말을 삼가라. 사람들의 | + | 6장: 경작지를 탐내지 말고, 땅 한 규빗을 탐내지 말고 과부의 경계를 탐내지 말라, 달의 힘으로 올가미에 걸릴 것이다. |
- | 9장: 성난 사람과 사귀지 말며 | + | 7장: 부를 추구하거나, |
- | 10장: 성난 | + | 8장: 모든 |
- | 11장: 하인의 재산을 탐하지 말라. 그것은 목구멍에 방해가 되고 구토하게 만든다. | + | 9장: 성난 사람과 사귀지 말며 상급자에게 말대꾸 |
- | 12장: | + | 10장: 성난 사람을 옳지 못함으로 대하지 말고 당신의 마음을 파괴하지 말라. 거짓으로 사람과 대화하지 말라. 신에게 혐오스러운 일이다. 마음과 혀를 분리하지 말라. 모든 당신의 계획은 성공하고 신의 손에서 안전할 때, 다른 사람들 앞에서 중요하게 될것이다. 신은 거짓말 하는 자를 싫어한다. |
- | | + | 11장: 하인의 재산을 탐하지 말라. 그것은 목구멍에 방해가 되고 구토하게 만든다. 그의 마음이 그의 안으로 |
- | --> 네 괜찮습니다 (from Kim..) | + | |
+ | 12장: 공직자의 재산을 탐내지 말고 입을 오만하게 많은 음식으로 채우지 말라 재산을 관리하도록 당신에게 맡긴다면 그의 것을 존중하라, | ||
+ | |||
+ | 13장: 거짓 진술로 증언하지 말며, 당신의 명령으로 사람을 제거하지 말라, 무죄한 자를 처벌하지 말라. 가난한 자가 빚을 졌다면 세 부분으로 나누어서 두 부분을 탕감해주어라, | ||
+ | |||
+ | 14장: 사람의 환심을 살려고 애쓰지 말고 그에게 도움을 구하려 하지 말라, 그가 " | ||
+ | |||
+ | 15장: 잘 대처하면 감화력을 얻을 것이다. 범죄자에 대해 당신의 갈대를 담그지 마라, 이비스-Ibis(서기관의 수호신인 토트-Thoth)는 부리는 서기관의 손가락이다. 그가 속이는 자(거짓 서기관)를 보면 홍수로 그의 식량을 쓸어간다. 거짓 서기관에 대해서는 그의 아들이 등록되지 않아야 한다. 당신의 마음 속 이런 것들로 당신의 삶을 보내면 당신의 자녀들이 이것을 목격할 것이다. | ||
+ | |||
+ | 16장: 저울을 기울이지 말고, 무게추를 속이지 말고, 곡식 계량기를 줄이지 마라, 신의 힘에 의한 군대는 정말 많다. 당신이 누군가가 속이는 것을 본다면 멀리서 당신은 그를 지나가야 한다. 신 앞에서 속일 때, 세마포 옷이 무슨 소용이 있는가, 보석이 금에 쌓여 있을 때, 새벽에 그것은 납으로 변한다. | ||
+ | |||
+ | 17장: 곡식 계량기를 속이지 말고, 힘으로 불법을 행하지 말라. 정직하게 측량하라. 측량은 레(태양신)의 눈이다. 경작자의 수확 세금을 받지 말고 그에게 해가 되는 파피루스를 두지 말라. 체류자의 몫을 속이지 말라. 위대한 왕의 자리를 걸고 맹세하는 것보다 보리의 타작마당이 더 중요하다. | ||
+ | |||
+ | 18장: 내일을 두려워 하지 말고 근심하지 말라 내일 일은 알 수 없다. 사람은 실패고 신은 성공이다. " | ||
+ | |||
+ | 19장: 치안판사가 있을 때 대회의실에 들어가지 말며 당신의 말을 속이지 말라, 당신의 증인이 준비 되었을 때 당신의 고소로 오르내리지 말라. 당신의 주의 이름으로 신문할 때 호소하며 과장하지 말라. 그 앞에서 진실을 말하라. 그 다음 날 그 앞에 탄원하면 당신이 말하는 모두에 동의할 것이다. | ||
+ | |||
+ | 20장: 법정에서 사람을 속이지 말고 의로운 사람을 호도하지 말며, 흰 옷 입은 사람을 주목하지 말고 넝마를 입은 사람을 조롱하지 말라. 뇌물을 받지 말며 그를 위해 약한 자를 압제 하지 말라. 마아트-Maat(정의와 공의)는 신의 위대한 선물이다. 그는 그것을 바라는 자에게 준다. 비참한 사람을 구원한다. 파피루스에 신탁을 속이지 말며, 신의 계획을 고치지 말라. 자신을 위해 거짓된 등록 목록들을 만들지 말라, 당신의 마음이 그들의 집에 대해 커지지 않도록 하라. 그렇다면 당신의 목이 처형대에 놓일 것이기 떄문이다. | ||
+ | |||
+ | 21장: 당신은 신의 계획을 알 수 없다. 신의 손에 앉아라. 당신의 말을 다른 사람에게 퍼붓지 말고 성급한 자와 친하게 지내지 말라. 자신의 보고를 자기 안에 두는 자가 불리하게 말하는 자보다 낫다. 우리는 완벽을 달성할 수 없고 그것을 파괴하려고 만들 수 없다. | ||
+ | |||
+ | 22장: 대적을 자극하지 말고 그가 자신의 내밀한 생각을 말하게 하지 말라. 그에게 섣불리 다가가지 말고 그의 고발을 이해하고, | ||
+ | |||
+ | 23장: 치안판사 앞에서 경솔하지 말고 잠잠하라. 당신의 논의를 밖으로 가져가지 말며, 당신의 마음이 슬프지 않게 하라. 한 사람의 마음은 신의 부리(beak)이다. 그것을 무시하지 말라. 공직자의 편에 선 사람은 그의 이름을 알리지 않아야 한다. | ||
+ | |||
+ | 25장: 병든 자들을 함부로 대하지 말며, 신의 손에 있는 자를 괴롭게 하지 말라. 그가 실수 할 때에 무섭게 대하지 말라. 사람은 진흙이고 신은 토기장이다. 그는 원한다면 천을 가난하게 한다. 그가 원한다면 천을 공직자로 만든다. | ||
+ | |||
+ | 26장: 맥주 홀에 앉지 말며, 당신보다 높은 사람에 합류하지 말라. 비슷한 사람을 자신의 친구로 삼아라. 밖에서 당신보다 높은 사람을 만날 때, 그를 따르고 존중하라. 강한 팔은 드러낼 때, 약해지지 않는다. 등을 굽힐 때, 등은 부러지지 않는다. 사람이 달콤한 말을 할 때, 부자의 무가치한 말 보다 낫다. 멀리보는 조타수는 자기 배를 전복시키지 않는다. | ||
+ | |||
+ | 27장: 당신보다 높은 사람을 비난하지 말라 그는 당신 앞에서 태양을 보았다. 그가 일어날 때 " | ||
+ | |||
+ | 28장: 과부를 선대하며 고발당하면 관대하게 대하라. 낯선 사람에게 기름 병을 머리 두지 말며, 가족에 대해서는 갑절로 그러지 말라. 신은 부요한 자보다 가난한 사람을 돌보는 자를 더 사랑한다. | ||
+ | |||
+ | 29장: 당신의 배에 공간이 있을 때, 사람들이 강을 건너지 못하도록 돌려보내지 마라. 만약 깊은 물 가운데서 노가 당신에게 주어지면 손을 뻗어 잡아라. 동료가 동의하지 않는다면, | ||
+ | |||
+ | 30장: 이 30개의 장을 기억하라 이거이 모든 책 가운데 으뜸이다. 이것이 무지한 자들의 무지를 떨치게 할 것이다. 이것으로 채우고 마음에 두라. 사람들이 이것을 해석하게 하라. 자기 자리에 경험이 많은 서기관은 자신에게서 신하가 될 가치를 발견할 것이다. 신의 아버지 파미우의 아들 세누의 글이다. | ||
+ | |||
+ | 수고했습니다. 이 내용이 전반적으로 무엇을 강조하고, | ||
+ | |||
+ | ===== 3. 문헌에 언급되는 있는 인물에 관정 정보(이준열) ===== | ||
+ | ==== 아메네모페 ==== | ||
+ | | ||
+ | 카나타크(Kamakth)의 아들, 아메네모페(Amenemope)는 이집트의 신왕국 기원전 13~11세기 사이의 인물이다. 현자 아메네모페는 사람이 마땅히 지켜야 할 윤리와 삶의 지혜를 아들에게 전했다. 아메네모페의 가르침은 30장으로 구성되 있는데, 이 문헌은 성서의 잠언과 유사점을 보이는데 특히, 잠언 22: | ||
+ | |||
+ | 왕과 귀족: 교훈에서는 왕이나 귀족과 같은 인물들이 등장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종종 사회적 질서와 정의를 상징하며, | ||
+ | |||
+ | 일반 사람: 아메네모페의 교훈은 일반 사람들에게도 적용되며, | ||
+ | |||
+ | 전체적으로 " | ||
+ | |||
+ | 아메네모페의 가르침" | ||
+ | |||
+ | 1. 마아트(Maat): | ||
+ | |||
+ | 2. 아문(Amun): | ||
+ | |||
+ | 3. 오시리스(Osiris): | ||
+ | |||
+ | 아메네모페의 가르침은 그 이전에 쓰여진 프타호텝의 교훈과도 유사점을 보인다. 두 문헌이 다른 시대에 쓰여져, 다른 전승을 가지고 있음에도 서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세계관을 공유하고 있다. 아메네모페의 가르침과 프타호텝의 가르침은 지혜로운 자는 침묵을 지키거나 부드러운 말을 해야 하며 반면 어리석은 자들은 성급하며 화를 잘 낸다고 말한다. 두 문헌의 차이점이 있다면 프타호텝의 가르침이 직접적인 행위와 성공을 위한 명확한 전략을 제시한다면 아메네모페의 가르침은 인내를 강조하며 지혜자는 물질적인 안락함을 멀리하고 부를 소유하지 않는 사람이라고 강조한다는 것이다. | ||
===== 4. 성서 연구에 있어 이 문헌이 중요한 이유(배형서) ===== | ===== 4. 성서 연구에 있어 이 문헌이 중요한 이유(배형서) ===== | ||
==== 1) 가르침(תּוֹרָה) ==== | ==== 1) 가르침(תּוֹרָה) ==== | ||
줄 95: | 줄 131: | ||
우리는 확고한 소명을 받고 나아가야 합니다. 확고한 소명을 받고 나아가지 않으면 목회자의 의무를 다할 수 없으며 불일치하는 성도들의 의견들 속에서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다가 목회자 본인이 그 의견들 속에서 독자적인 힘으로 헤쳐 나갈 수 없기 때문입니다. 설교도 마찬가지입니다. 설교를 위해 성서연구를 할 때 하나님만을 포커스로 맞춰서 헤쳐 나아가지 않으면 설교의 서론, 본론, 결론이 모두 흔들려져버리는 설교가 나오기 쉽습니다. 따라서 성서연구에 있어서 소명을 전해주는 이 문헌은 세번째로 중요한 이유입니다. | 우리는 확고한 소명을 받고 나아가야 합니다. 확고한 소명을 받고 나아가지 않으면 목회자의 의무를 다할 수 없으며 불일치하는 성도들의 의견들 속에서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다가 목회자 본인이 그 의견들 속에서 독자적인 힘으로 헤쳐 나갈 수 없기 때문입니다. 설교도 마찬가지입니다. 설교를 위해 성서연구를 할 때 하나님만을 포커스로 맞춰서 헤쳐 나아가지 않으면 설교의 서론, 본론, 결론이 모두 흔들려져버리는 설교가 나오기 쉽습니다. 따라서 성서연구에 있어서 소명을 전해주는 이 문헌은 세번째로 중요한 이유입니다. | ||
- | ==== 4) 잠언과 이집트의 지혜문헌의 유사성이 끼치는 영향 ==== | + | ==== 4) 잠언과 이집트의 지혜문헌이 |
- | 고생했습니다. | + | 두 본문을 비교분석하다 보면 서로 비슷한 내용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사실이 잠언을 이해하는데 어떤 영향을 줄것인지 생각해보면 구약성경의 다른 |
- | + | ||
- | | + | 서기 1세기 후반의 랍비 양성기관에서는 잠언을 거의 가르치지 않았는데, |
+ | |||
+ | 잠언은 지혜를 추구하며, | ||
+ | |||
+ | 잠언이 묘사하는 | ||
===== 성서 본문과의 유사성과 차이점 ===== | ===== 성서 본문과의 유사성과 차이점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