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알렙위키
검색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등록
로그인
추적:
문서의 이전 판을 선택했습니다!
저장하면 이 자료로 새 판을 만듭니다.
미디어 파일
===== 오경의 법 ===== * 오경의 법들은 새로운 세대가 나타날 때, 혹은 중요한 사건들 이후에 갱신되는 형태로 나타난다. * 그렇기 때문에 법들을 따로 떼어서 이해하는 것보다는 법전들을 포괄하고 있는 네러티브의 맥락에서 법을 이해하고 읽어야 한다. * 오경의 법은 크게, 십계명(출20), 계약법전(20-23), 제의 십계명(출34), 성막과 제사법(출25-민수기), 그리고 신명기법전의 틀로 구성되어 있다. * 십계명(출20:1-17) 정언법의 형태. 전체 토라 법의 메시지를 포괄하는 법이다. 출20:1~2 – 법의 권위. 고대 근동의 다른 법과 다르게 하나님에게 있음. 출애굽 전통. 모세의 권위가 법에 반영되어 있지 않음. 따라서 어떤 인간 지도자도 법을 초월할 수 없음. 두 돌판 è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법(종교법), 인간과 인간 사이의 법(사회법) * 계약법(출20:22-23:33) 대부분 조건법의 형태. 기초적인 종교법과 다양한 사회법을 망라. 성소가 지어지기 전이기 때문에 종교법은 간략한 형태로 나타남. 그리고 특정한 성소에 대한 언급이 없이 “하나님의 이름을 기념하는 모든 곳”으로 나타남. * 일반적으로 계약법은 고대 근동의 법, 특히 함무라비 법전과 유사하다는 측면. “눈에는 눈 이에는 이” (21:24) 그러나 성서의 법과 고대 근동 함무라비 법전의 차이는 이러한 정의 대상이 다름. 고대 근동은 아윌룸 계급. 그러나 성서는 이러한 계급 차이를 최대한 줄이려고 하는 경향. * 재산과 생명에 있어 성서는 생명을 우선시하는 반면, 함무라비 법전은 재산을 더욱 중요시하는 경향. * Goring Ox (출21:28-32 // 함무라비 250-252) * 함무라비에서는 의도치 않게 사고가 났을 경우 처벌이 없다. 생명이 재산보다 우선하지 않음. * 함무라비에서는 오직 남자가 죽었을 경우만 거론하고 있다. * 함무라비에서는 장소가 "거리"로 특정되어 있다. 즉, 도시에서 이러한 일이 벌어졌을 것을 상정하고 있는데 아마도 도시에 사는 어느정도 지위가 있는 남자가 죽었을 경우를 거론하고 있는 것 같다. * 29절에서 계약법은 함무라비 법전의 "he did not control his ox"를 생략함으로 법이 적용되는 범위를 더욱 일반화하고 있다. 뿔을 묶었음에도 사람을 죽이는 경우 처벌의 대상이 됨. * 29절에서 계약법은 함무라비 버전과 달리 전력이 있는 소를 방치했다가 사람을 죽이는 경우, 소와 함께 그 주인은 죽어야 한다고 언급한다. * 그런데 30절은 벌금형의 경우도 밝히고 있다. 사실 goring ox법은 넓은 범위에서는 의도치 않은 살인에 해당한다. 의도치 않은 살인의 경우 사실관계를 밝히고 판결을 보류하는 기회가 주어진다. * 그러나 함무라비 법은 무조건 벌금형으로 처리될 수 있다. 정확한 금액이 명시. * 계약법에서는 이 금액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을 하고 있다. 그 금액은 "ransom"과 "redemption price for his life"라고 규정된다. 왜냐하면 기본적인 처벌은 처형이기 때문이다(일종의 집행유예 – 집행유예라고 해서 죄를 짓지 않은 것이 아님). 그러나 함무라비는 이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의미는 존재하지 않는다. * 31절에서 계약법은 아들이나 딸에게 그 벌이 상속될 수 없음을 분명히 명시하고 있다(연좌제 금지 – 공동체 내에서의 삶의 문제). * 32절에서 노예에 관한 법이 나온다(성서에서 히브리 종은 임시적인 지위). 32절은 30절과 31절에 이어진다. 즉, 금액을 지불해야 할 경우 노예들(남/여)에 대해서 어떻게 지불해야 하는 가이다. 함무라비 법전에서 평민이 죽었을 경우 30세켈을 지불하고, 노예가 죽었을 경우 20세켈이 지불된다. 하지만 계약법에서는 평민과 동일하게 30세켈을 부과한다. * 28절에서 돌에 맞아 죽은 소를 먹지 말아야 하는 규정. cf. 출22:31. 다른 동물에게 찢겨서 죽은 동물은 먹을 수 없음. 부정한 고기. stoning은 동일한 효과를 만들고 있음. 부정한 고기가 됨. punishment임을 강조하기 위한 것. 일반적인 도축이 아님. * 언약식 (출24:3,7) *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언약 체결 (조건적인 법의 시작) * 성막과 제사법(출25:1-민수기 10:10) * 성막 건설. 금송아지 사건과 함께 읽어야 함. * Symbol: 금 송아지를 만든 이들은 그것 자체를 신으로 인식 (“신을 만들라”). 그러나 성막은 철저히 하나님의 형상과 관계된 것을 완전히 제거. 법궤 역시 하나님의 역사를 상징하는 것이지 하나님이 아니었음. * Openness: 금 송아지 제단의 특징은 열려 있다는 것. 성소는 철저히 가려져야 하며 이스라엘 백성들 가운데에서 특별하게 성별된 제사장들도 극히 제한적으로 성소에 들어갈 수 있다. 눈에 보이는 것을 철저히 철폐. 오직 번제단만 노출. 너의 죄는 알라! * Mobility: 천막. 성막은 고정된 성소가 아니라 움직이는 성소였음. 이는 하나님이 광야에서 이스라엘 백성들과 항상 함께 하신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표가 됨. 나아가 고정된 성소가 무너진다 할지라도 하나님의 성소는 유연한 것임이 나타남. (cf. 에스겔 11:16) * 자원: 금 송아지 제단을 만들기 위해 아론이 제물을 요구. 그러나 성막 공사는 백성들이 자원하는 마음으로 바침. 출35:21. 감동. 성막이 하나님의 영과 감동으로 건축됨. 하나님에 의해 명령된 성소만이 온전한 제단. * 새로운 언약 (출34:10-28) * 금송아지 숭배 사건 이후에 주어진 새로운 법 * 성막이 완성되기 전 종교법에 대한 강조. * 34:28의 금식은 24:11의 축제 분위가 사뭇 다름. 회개의 모습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 * 제사장/레위인의 법 (레위기) – 이스라엘의 거룩함을 위한 레위인들의 책임 * 성소가 완성된 이후, 이 성소에서 지켜야 할 규례들. 거룩함과 구별됨 * 제사장 민족이 되기 위한 핵심적인 규정들 * 제사법(1-10) * [네러티브] 첫 제사, 그리고 잘못된 제사 * 제사장의 규례 (레10:8-20) * 정결법(11:1-16:34) – 일반인들이 성막에서 제사를 드릴 수 있는 자격 * 성결법전(17:1-26:46) – 세상 속에서의 거룩 * 부가적인 법들(27장) * 민수기 1:1-10:10 * 인구조사와 제사장들과 관련된 부가적인 법들
저장
미리 보기
취소
편집 요약
참고: 이 문서를 편집하면 내용은 다음 라이선스에 따라 배포하는 데 동의합니다:
CC Attribution-Share Alike 4.0 Internationa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