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레위기 8-10장의 구조 ==== * 제사장들의 위임식은 출애굽기 29장의 지시사항을 이행한 것. * 코헨(כהן) * 제사장을 의미하는 단어로, 다른 종교의 제사장들을 가리키는 말로도 사용됨. (*כון ‘서다’ 와의 연관성?) * עשה + אֲשֶׁר־צִוָּה יְהוָה “여호와께서 명령하신 대로 하매” (8:4, 5, 9, 13, 17, 21, 29, 34, 36, 9:6, 7, 10, 21, 10:7, 13, 15) * 모든 절차가 하나님의 뜻대로 그대로 이루어짐을 강조. * 제사장의 조건 * 일반 제사장은 아론 계열에 속해야 함 (출28:1, 41, 29:9; 레 1:5, 7-8, 11; 민 3:10, 18:7) * 신체적인 결함이 없어야 함. * 대제사장은 아론의 큰 아들 엘르아살의 계보. * 제사장의 역할 * 성소를 섬기는 일 (민 1:50, 3:28, 32, 8:15, 31:30, 47; 대상 23:25-32) * 율법을 가르치는 일 (느 8:7, 9; 대하 17:7-9, 35:3) ==== 아론과 아들들의 제사장 취임 (8:1-36) ==== * 위임식 준비 (1-9) * 준비해야 할 재료들(2): 의복, 관유, 속죄제를 위한 소, 숫양 두마리, 누룩이 없는 떡을 담은 광주리 * 백성들을 한 곳에 모음(4): 제사장 역할의 공공성. * 준비절차(7-9): 물로 씻김 → 속옷(+속바지) → 띠 → [겉옷] → [에봇] → [흉패(우림과 둠밈(빛/완전))] → 관 → [거룩한 관] ( [ ] 안의 의복은 대제사장에게만 주어짐) * 제사장과 대제사장의 의복 * 제사장: 속옷, 속바지, 띠, 관 * 대제사장: 속옷, 속바지, 띠, 관, 겉옷, 에봇, 흉패, 거룩한 관 * 기름 부음 (10-13) * 성막의 기물들의 기름을 바름 (10) * 제단에 일곱 번 뿌리고, 제단의 모든 기구와 물두멍에 기름을 바름 (11) * 관유를 아론의 머리에 부음 (12) * 제단을 위한 속죄제 (14-17) * 수송아지로 속죄제를 드림 * 번제의 숫양 (18-21) * 번제의 규례대로 숫양을 드림 * 속죄 이후 예배의 의미 * 화제 * 위임식(화목제)을 위한 숫양 (22-30) * 숫양의 피를 제사장들의 귀와 손과 발에 바름. 제단에 피를 바르는 행위에 상응함. * 요제, 화제 * ‘손을 채우다’ (ימלא את ידכם) * 제사의식을 행하는 자들의 임명을 가리키는 관용구 * 7일간의 위임식 (31-36) * 7일간 회막에 머물러 있어야 함. * 제사장들을 대속 ==== 제사장들의 사역 시작 (9:1-24) ==== * 첫번째 희생제사 (1-4) * 속죄제를 위한 흠없는 송아지 * 번제를 위한 흠 없는 숫양 * 화목제를 위한 수소와 숫양 * 기름섞은 소제물 * 제사장들을 위한 제사 (5-14) * 제사를 통한 여호와의 영광의 임재 * 속죄제를 위한 송아지 * 번제 * 백성을 위한 제사 (15-21) * 속죄제의 염소 * 번제 * 소제 * 화목제물의 수소와 숫양 (요제) * 축복과 불 (22-24) * 백성을 향한 아론의 축복 * 여호와의 영광의 임재와 불 (제사와 제사장직에 대한 하나님의 승인, 응답) ==== 제사장의 역할 (10:1-20) ==== * 나답과 아비후의 다른 불 분향 (1-7) * 다른 불’ (אש זרה) (cf. 출30:9 다른 향) * 불순종에 대한 의미 함축, 흐름을 전복시킴. 질서를 흔드는 행위 * 애도에 대한 금지 및 계속된 제사장 역할 수행 * 제사장의 역할 (8-11) * 포도주와 독주에 대한 금지 * 거룩하고 속된 것을 분별 * 모세가 받은 율법을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가르침 * 제물을 먹는 방법 (12-20) * 소제의 남은 것을 (누룩x) 제단 곁에서 먹음 * 흔든 가슴과 들어올린 뒷다리는 자녀와 함께 정결한 곳에서 먹어야 함 (화목제의 소득) * 속죄제물을 먹지 않은 것에 대한 책망 (회막 밖 번제단에 뿌려진 희생제물은 진영 밖에서 태워지지 않고, 고기를 먹을 수 있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