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경의 해석사 ===== ==== 근대까지의 오경 해석의 역사 ====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오경 해석의 역사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라. [[https://alphalef.notion.site/2-0dee4344d0314ce99f668070ead24792?pvs=4|자료보기]] ==== 근대 이후 문서설의 도래 ==== [[https://alphalef.notion.site/7387e856a72e4da2824f31f3bb797aee?pvs=4|자료보기]] ==== P와 H의 관계 ==== 레위기에 있어 중요한 것은 P와 H의 관계를 어떻게 보는가에 있다. 벨하우젠 이래 독일의 학자들은 P를 맨 나중에 성립된 문서(즉, 성막은 상상의 산물)로 보았고, 이를 토대로 H를 이미 갖고 있는 P의 저자가 P에 H를 통합했다고 본다. 그러나 카우프만으로 대표되는 이스라엘 계열의 학자들은 P문서를 포로기 이전의 문서라 주장하며 H(H는 에스겔과 가까움)보다 앞선다고 보았고, 심지어 이스라엘 크놀은 H가 오경의 최종 편집에 관여했다고 생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