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성경본문과의 유사성 및 차이점

오현택

공통점: 앗시리아 문헌과 이사야서는 예언으로 초월자에게 뜻을 구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차이점

김경찬

공통점: 성서 본문과 앗수르 국가 기록물의 유사점은 이사야 31장과 SAA 9 2에 나타난 여호와의 앗수르의 말씀에 담겨져 있다. 두 말씀에서는 여호와, 앗수르의 신의 구원에 대한 내용이 있고, 각각 적을 멸망시킨다는 강력한 이미지를 준다. 그리고 두려움으로부터의 보호한다는 내용을 흡사하게 서술했다. 새가 성읍을 보호하려고 성읍 위를 맴돌고 사자가 적을 대면하는 것과 같이 흡사하게 신의 형상을 결합한다(사 31:4-5; SAA 9 2. 3:6-10). 1) 이는 두 신탁이 공동의 문화권에서 수사적 전통이 공유되었음을 추측 할 수 있다.

차이점: 차이점은 신에 대한 관점으로 분명하게 나타난다. 앗수르 국가 기록물로부터 알 수 있는 예언의 특징은 왕정 중심의 이데올로기를 가지고 왕권의 안정과 번영, 축복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왕이 신과 같은 메시아적 특징을 내포하고 있다.2) 특히 에살하돈의 신탁에서 알 수 있는 특징은 에살하돈에게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그의 통치에 대한 축복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는 점에서 왕정 친화적인 성격이 강하다. 반면 성서에서 드러나는 특징은 바로 오로지 한 분 하나님에 의해 예언이 이루어지며 유일신을 기반으로 전개된다. 또한 성경에서는 왕정에 대한 부정적인 예언이 이루어져 있고, 조건없는 번영의 신탁이 전혀 나오지 않는다. 3) 따라서 성서의 예언은 유일신인 하나님으로부터 예언이 이루어지고 성취되며, 왕정에 대해 부정적인 성격이 드러난다.

방예찬

공통점 : 성서 이사야서와 앗수르 국가 기록물 사이의 공통점으로는 두 기록물 모두 다 유사한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사야서도 그 당시 유다가 주변 나라들에게 처한 어려운 상황 속에서 그 위협에 대한 전능자의 예언에 대해서 다루고 있고 앗수르 문헌 또한 그 국가의 어려운 상황 속에서 그 위협에 대해서 전능자(이쉬타르)의 약속과 신탁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차이점 : 가장 큰 차이점으로는 이사야서의 신탁은 그 당시 주변의 모든 강대국들도 하나님의 주권 아래에 있는 도구이며 결국 신탁을 통해서 하나님의 주권을 다시 바라보게 하고자 하지만 에살핫돈의 신탁은 '신'의 주권보다는 앗수르 왕의 절대적인 권력과 영광을 강조한다 그리고 거의 왕의 복을 기원하는 '복의 신탁'이다.

신왕철

이사야서와 에살핫돈에 관한 앗수르의 고대기록물 사이의 유사점은 두 문헌 모두 당대의 정치적 상황과 제국 간의 갈등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사야서는 종교적 메시지를 중심으로 하나님에 대한 예언이 중심이 되어 서술 된다면, 에살핫돈에 관한 기록은 왕이 중심이 되어 그의 권력에 대한 지지 그리고 힘든 상활속에서의 위로가 주된 내용이다. 또한 이사야서는 미래에 대한 예언이라면, 에살핫돈은 과거의 사건들을 기술하는 것이 차이점이라고 볼 수 있다.

1)
크리스토퍼 B. 헤이즈, 『고대 근동 문헌과 구약성경』, CLC, (2018), 469p.
2)
김경식, 「훌다는 거짓 예언자인가?」, 『한국기독교신학논총』no.129, 한국기독교학회, 2023, 18p.
3)
크리스토퍼 B. 헤이즈, 『고대 근동 문헌과 구약성경』, CLC, (2018), 470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