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레위기 1-7장의 구조
레위기 1-7장에 나타나 있는 5가지의 제사법.
- 번제
- 소제
- 화목제
- 속죄제
- 속건제
레위기 1-7장의 주요 내용들은 그 다음에 열거되는 다양한 의식들의 전제가 됨. 특별히 이 부분에서는 제물들을 어떠한 방식으로 처리하여 제물로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안내를 하고 있음.
그렇다면 이러한 제물들은 어떠한 방식으로 공수되었을까? 일단 성막을 만드는데 필요한 도구들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애굽에서 나올 때 상당부분 애굽 백성들로부터 받은 것을 갖고 나온 것으로 사용했을 수 있었을 것.
출 12:35-36 이스라엘 자손이 모세의 말대로 하여 애굽 사람에게 은금 패물과 의복을 구하매 여호와께서 애굽 사람들에게 이스라엘 백성에게 은혜를 입히게 하사 그들이 구하는 대로 주게 하시므로 그들이 애굽 사람의 물품을 취하였더라
그러나 광야에서 이스라엘 백성들은 재물을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 광야에서는 당연히 재물로 쓸 짐승을 구할수는 없다. 그런데 출애굽기에 나타난 이야기를 통해 그 힌트를 발견할 수 있다.
출 10:8-9 모세와 아론을 바로에게로 다시 데려오니 바로가 그들에게 이르되 가서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를 섬기라 갈 자는 누구 누구냐 모세가 이르되 우리가 여호와 앞에 절기를 지킬 것인즉 우리가 남녀 노소와 양과 소를 데리고 가겠나이다
이로 미루어볼 때 이스라엘 백성들은 절기를 지키기 위해 양과 소를 가지고 가려 했음을 알 수 있다. 레위기에서 제사에 쓰이는 제물의 종류를 기본적으로 ‘소와 양’으로 언급하는 것은 이 맥락에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새는 변칙적인 제물의 성격을 가진다.
츌 34:3 아무도 너와 함께 오르지 말며 온 산에 아무도 나타나지 못하게 하고 양과 소도 산 앞에서 먹지 못하게 하라
위 구절은 시내산에서의 상황을 전제하는 언급인데 양과 소를 산 앞에서 목축하고 있었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광야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완전히 메마른 모래 사막이 아니라 관목과 같은 풀들이 자라나는 곳이다. 즉, 이스라엘 백성들은 제물로 사용할 가축들을 돌보고 있었음을 알 수 있고, 먹을 것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가축들을 그대로 두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물론, 레위기의 본문을 포로 이후나, 왕국 시대에 형성된 문서로 파악한다면 이는 큰 문제가 되지는 않겠지만 최종 성서 본문은 이러한 문제를 자연스럽게 해결하고 있다.
- 1:1-2 * 서문
- 예물의 종류 * 소나 양
- 1장 * 번제
- 3-9절 소
- 흠없는 수컷
- 제사자가 번제물 머리위에 안수하고(속죄) 여호와 앞에서 수송아지를 잡고, 피를 제단 사면에 뿌림.
- 가죽을 벗시고 각을 뜸.
- 제사장은 번제단을 준비하고 뜬 각과 머리와 기름을 번제단 위에 벌여 놓음
- 내장과 정강이를 물로 씻고, 그 전부를 단 위에 불살라 번제. 화제. 향기로운 냄새
- 10-13절 양 또는 염소
- 흠없는 수컷
- 제사자가 제단 북쪽 여호와 앞에서 제물을 잡고, 그 피를 단 사면에 뿌림.
- 각을 뜨고 머리와 기름을 베어내고, 그 전부를 제단 위에 벌여 놓음.
- 내장과 정강이를 물로 씻고, 그 전부를 단 위에 불살라 번제. 화제. 향기로운 냄새
- 14-17절 새
- 제사장이 단으로 가져가 머리를 비틈.
- 단 위에 불사르고 피는 단 곁에 흘림.
- 먹통과 더러운 것은 제하고 단 동편 재 버리는 곳에 던지고, 날개 자리에서 몸을 찢되 아주 찢지 말고 제물을 단위에 불살라 번제. 화제.
- 2장 * 소제
- 1-3절 고운 가루 (굽지 않은 예물)
- 제사자가 고운 가루 위에 기름을 붓고 유향을 놓음.
- 제사장이 이를 받아 단 위에 불사름. 화제. 향기로운 냄새
- 소제의 남은 것은 제사장에게 돌아감.
- 4-10절 무교병이나 기름을 바른 무교병 (구운 예물)
- 철판에 부친 것 * 고운 가루에 누룩을 넣지 말고 기름을 섞어 조각으로 나누고 그 위에 기름을 부움.
- 냄비의 것 * 고운 가루와 기름을 섞어 만들어야 함.
- 제사장은 이것을 받아서 단 위에 불사름. 화제. 향기로운 냄새
- 소제의 남은 것은 제사장에게 돌아감.
- 11-16절 기타 규정
- 모든 소제물에는 누룩을 넣지 말 것. (누룩이나 꿀은 화제X)
- 처음 익은 것으로 드리되 향기로운 냄새를 위해서는 드리지 말 것.
- 모든 소제물에 소금을 칠 것.
- 첫 이삭의 소제 * 첫 이삭을 볶아 찧은 것으로 드림. 그 위에 기름을 붓고 유향을 더함
- 제사장은 이를 받아 유향과 함께 기념물로 불사름. 화제.
- 3장 * 화목제
- 1-5절 소
- 흠없는 수컷이나 암컷
- 제사가 머리에 안수하고 회막 문에서 잡음.
- 제사장은 그 피를 제단 사방에 뿌릴 것.
- 제사자가 화목제의 제물 중에서 여호와께 제물을 드려야 함 * 내장에 덮인 기름, 내장에 붙은 모든 기름, 두 콩팥과 그 위의 기름, 허리 쪽에 있는 것과 간에 덮인 꺼풀을 콩팥과 함께 떼어내어야 함.
- 제사장은 이를 번제단 위에 살라야 함. 화제. 향기로운 냄새.
- 6-11절 양
- 흠없는 수컷이나 암컷
- 어린양이라면, 이것을 끌어다가 제사자가 그 머리에 안수하고 회막 앞에서 잡아야 함.
- 제사장은 그 피를 제단 사방에 뿌림.
- 제사자가 화목제의 제물 중에서 여호와께 화제를 드려야 함 * 미골에서 벤 기름진 꼬리, 내장에 덮인 기름과 내중에 붙은 모든 기름과 두 콩퍁과 그 위의 기름, 허리쪽에 있는 기름과 간에 덮인 콩팥과 함께 떼어내어야 함.
- 제사장은 이를 번제단 위에 살라야 함. 화제. 여호와께 드리는 음식
- 12-17절 염소
- 제제사자가 머리에 안수하고 회막 앞에서 잡아야 함.
- 제사장은 그 피를 제단 사방에 뿌림.
- 그 중에서 예물을 가져다가 여호와께 화제를 드려야 함 * 내장에 덮인 기름, 내장에 붙은 모든 기름, 두 콩팥과 그 위의 기름 곧 허리 쪽에 있는 것과 간에 덮인 꺼풀을 콩팥과 함께 떼어내야 함.
- 제사장은 이를 번제단 위에서 살라야 함. 화제. 향기로운 냄새.
- 모든 기름은 여호와의 것.
- 기름과 피를 먹지 말라. 영원한 규례.
- 4:1-5:13 속죄제
- 4:1-35 부주의한 죄에 대한 속죄제
- 1-2 서론
- 3-21 성소에 피를 뿌림
- 3-12 대제사장을 위해
- 13-21 전체 회중을 위해
- 22-35 번제단에 피를 바름
- 22-26 족장을 위해
- 27-31 염소를 바치는 개인을 위해
- 32-35 어린 양을 바치는 개인을 위해
- 5:1-13 부주의로 범한 특정 죄에 대한 속죄제
- 1-6 어린 양 또는 염소
- 7-10 새
- 11-13 고운 가루
- 5:14-6:7[5:26] 속건제
- 5:14-19 부주의로 범한 죄에 대한 속건제
- 6:1-7[5:20-26] 고의적인 죄에 대한 속건제
- 6:8[6:1]-7:38 제사장에 대한 지침
- 6:8-13[6:1-6] 번제물의 처리
- 6:14-18[6:7-11] 소제물의 처리
- 6:19-23[6:12-16] 제사장의 소제
- 6:24-30[6:17-23] 속죄제물의 처리
- 7:1-10 속건제물의 처리
- 7:11-21 화목제물의 처리
- 7:22-27 기름과 피를 먹는 일
- 7:28-36 화목제물의 제사장 몫
- 7:37-38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