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절기법에 관한 규정 (23장 1-44절)

본문의 구조 (발제자: 김대완)

성결법전으로 여겨지는 레위기 17-26장은 특정 본문(레 21-22:33)을 제외하고는, 수신대상을 하나님과 관련된 이스라엘 백성 전체로 한다. 1-16장까지의 내용이 하나님 사랑이었다면, 이어지는 본문은 하나님의 거룩성을 그 백성된 자들이 어떻게 삶에서 드러내며 입증할 것인가, 성소를 초월한 삶의 전반에 이르는 실천적 내용을 담고 있다.

레위기 23장은 17장에서 26장을 10개의 개별 지문으로 나눈 부분 중 하나이다.1) 8개의 개별 지문과 같이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로 시작된다. 그리고 봄(레 23:1-22)과 가을(23:23-43) 계절에 따라 두 부분으로 또 나뉜다.2) 이는 이스라엘 절기가 정주공동체, 농경사회를 이루는 농사력에 기반한 것임을 의미한다.3)

각각의 절기는 국가적 차원의 종교절기이다. 따라서 먼저는 농경생활을 통한 추수의 모든 결과가 하나님께 있음을 공표한다. 이를 통해 농경에서 가장 중요한 시간의 통제성 역시 하나님께 있음을 드러낸다. 그렇기에 완전한 주권자이신 하나님을 기억하는 절기 중에 노동은 허락되지 않는다. 또한 절기가 적용되는 공간은 성소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문은 “너희가 거주하는 각처에서”로 삶의 터전을 말하고 있다.4) 끝으로 본문은 삶에서의 윤리적 태도, 즉 '이웃사랑'의 실천모델로 가난한 자들을 기억할 것을 기록하고 있다.5)

일곱 절기법은 매주 행하여지고 모든 절기의 근본으로 여겨지는 안식일로 시작된다. 안식일은 하나님이 시간을 포함한 모든 것을 통제하실 수 있는 주권자임을 기억하는 날임과 동시에 노동에 대한 쉼을 의미하고 있다. 이는 애굽시대에 종노릇하던 이스라엘 백성을 출애굽시키신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쉼이다. 이어지는 여러 절기들은 안식일의 핵심가치를 담고 있다. 1. 절기에 대한 서론(23:1-2)

2. 안식일(23:3)

3. 유월절과 무교절(23:4-8)

4. 첫 수확물(23:9-14)

5. 칠칠절(23:15-22)

6. 나팔절(23:23-25)

7. 속죄일(23:26-32)

8. 초막절(23:33-44)


본문의 청중의 시대 (발제자: 석미현)

23장은 앞 장인 22장과 연결점 및 대조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연결적 측면에서 보면 성물의 섭취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22장 다음에 절기 참여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는 23장이 나온 것은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절기들에는 필연적으로 백성의 제물의 섭취가 동반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반면 23장에는 22장과의 대조점도 존재하고 있다. 21-22장의 주 청중은 제사장들인데 반해 23장의 주 청중은 이스라엘 백성이다. 또한 23-27장 전체의 주 청중이 항상 이스라엘 백성이기도 하다. 이런 면에서 23장은 주 청중이 제사장 집단에서 일반 백성으로 바뀌는 시발점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문의 이스라엘의 시대]

그렇다면 본문의 주 청중인 레위기의 이스라엘 백성은 어느 시대라고 볼 수 있는가. 비평학자들이 주장하듯이 레위기가 포로기 이전 시대의 말엽 혹은 포로기 이후 시대의 내용들을 담고 있다는 뚜렷한 증거는 없다. 문학적인 차원에서 보면 레위기의 연대기는 출애굽 1주년 기념으로 세워진 성막 준공식부터 시작된다(출 40:2, 17, 참조. 12:2). 성막이 준공된 지 한 달 후 이스라엘은 약속의 땅을 향하여 진군할 준비를 마친다. 레위기는 이 ‘한 달 동안’에 주어진 규례들이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보자면 레위기 안에는 이스라엘이 가나안 땅의 정착 초기부터 땅을 상실할 때까지, 즉 성전이 건재할 동안에 준수된 율법들과 포로기 이후 스룹바벨이 지은 제2성전 시기에 효력을 가졌던 율법들이 연대 구분 없이 혼재되어 있다.   율리우스 벨하우젠(Julius Wellhausen)과 같은 비평적 역사가들은 레위기의 율법이 대부분 포로기 이후의 역사적 대파국적 재난 경험과 죄책감을 반영한, 포로기 이후에 유래한 율법들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이스라엘 역사서설』(Prolegomena to the History of Ancient Israel, 1878)에서 예배장소, 제사제도, 거룩한 종교축제들, 제사장과 레위인의 구별된 직위제도 등에 대한 제사장 문서(소위 P문서, 즉 출 25-31, 35-40장, 레위기 전체, 민 1-10장, 15-36장의 대부분)는 왕이 없던 포로기 이후의 제2성전 시대를 반영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더 나아가 성막을 중심으로 펼쳐진 정교한 제사제도는 포로기 이전에는 없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모세 와인펠트(Moshe Weinfeld)는 레위기 율법의 고대성(pre-exilic origin)을 설득력 있게 옹호하고 있다. 그는 속건제를 의미하는 “아셈”이라는 단어가 기원전 15-14세기에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는 라샴라 토판(시리아에서 발굴)이나 에블라 토판(팔레스틴) 등에서도 발견된다는 점을 들어 속죄의식이 포로기 이후에 유래하였다고 단정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레위기 문서 안에도 다른 오경에서와 마찬가지로 이스라엘의 역사의 여러 지층이 공존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1)
Mark F. Roooker, 『NAC 레위기』, 부흥과개혁사, 2018, p.290
2)
23:22,43절은 “나는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이니라” 라는 같은 결론절로 끝마친다.
3)
앞의 책, p.355에 따르면 유월절과 무교절은 보리 추수기, 오순절은 늦은 봄 / 이른 여름의 밀 추수기, 가을 절기는 포도, 무화과, 감림의 추수기이다.
4)
레 23:14,17,21,31
5)
레 23:22
로그인하면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