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이집트의 종교와 문화

이집트는 나일강의 선물이라 불리는 고대 4대 문명 가운데 하나이며, 그 역사는 기원전 3150년경부터 시작된다. 고대 이집트의 역사는 크게 아래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초기왕정: 기원전 3150년-2686년
  • 고왕국: 기원전 2686-2181년
  • 중왕국: 기원전 2134-1690년
  • 신왕국: 기원전 1549-1078년
  • 후기시대: 기원전 664년-332년
  • 프톨레미왕조(그리스): 기원전 332년-기원후 30년
  • 로마: 30년 이후

이집트의 기원

이집트를 존재케 한 것은 역시 '나일강'이다. 나일강은 1년 내내 농경에 필요한 풍부한 물을 공급해 주었던 안정적인 수원이었으며, 이른 시기부터 나일강을 중심으로 정착지가 마련되기 시작했다. 주기적으로 범람하는 나일강으로 인해 땅은 해마다 영양분을 새롭게 공급받을 수 있었다. 그리고 나일강의 범람을 예측하기 위한 측량 기술과, 범람하고 난 이후에 땅을 재분배 하기 위해 면적을 계산하는 기하학, 그리고 효과적인 농사를 위한 관개 기술등이 일찍부터 발전하였다.

나일강을 중심으로 한 농경의 발전과 도시의 성장은 사회 계급체제를 이루기 시작했고 이는 또한 왕정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사회 질서가 복잡해지고 다변화됨에 따라 왕을 중심으로 한 효율적인 행정 체제가 조직되었으며, 서기관들과 종교 지도자들 또한 등장하게 되었다. 여느 고대 사회와 마찬가지로 종교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종교는 인류의 역사와 그 궤를 같이해 왔다. 특히 농업에서는 물과 해가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인간의 노력으로는 어찌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풍요를 기원하는 종교가 발전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눈에 보이는 태양, 달, 하늘 등 천체를 관장하는 신들에 대한 개념이 생겨나기 시작했고, 또한 삶, 죽음, 부활, 정의 등과 같이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영역을 주관하시는 신들도 중요하게 섬겨졌다.

이집트의 나일강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흘러간다. 대부분의 큰 강들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흘러가는 것과는 반대된다. 고대 이집트는 초기 두 개의 지역으로 나뉘어져 있었는데 남쪽 나일강 상류 지역을 상이집트, 그리고 북쪽 나일강 하류 지역을 하이집트라 불렀다. 이 두 왕조는 점진적으로 통합되어 초기 왕조시대를 이루어 발전해 나가게 된다.

www.ees.ac.uk_static_eb8f73806a1fdd2a3cd3bc1054801c77_790x460_highestquality_4a7c7e45a350_eb8f-getimage.jpg

로그인하면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