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 글의 시작 - 이 세상과 우리 자신에 대한 질문

이 세상과 우리는 어떤 존재인가?

언어적 존재

호모 로켄스(Homo loquens)

생각의 변화

이 세상과 우리에 대한 정의는 끊임없이 변화
인간 언어의 불완전성

차원과 언어, 그리고 계시

우리는 우리의 언어로 어떻게 진리를 담아낼 수 있는가?

이 세상의 방식으로 표현된 하나님의 언어

성경, 계시의 언어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하니 이는 하나님의 사람으로 온전하게 하며 모든 선한 일을 행할 능력을 갖추게 하려 함이라 (딤후 3:16-17)

언어가 가진 근본적인 힘은 무엇인가?

존재하게 하는 힘

- וַיֹּאמֶר אֱלֹהִים 하나님이 말씀하셨다.
- יְהִי אֹור 빛이 있으라.
- וַיְהִי־אֹור 빛이 있었다.

인간에게 부여된 언어

창세기 2:19 여호와 하나님이 흙으로 각종 들짐승과 공중의 각종 새를 지으시고(יצר) 아담이 어떻게 이름을 짓나 보시려고 그것들을 그에게로 이끌어 이르시니 아담이 각 생물을 일컫는(קרא) 바가 곧 그 이름(שם)이라

언어를 독점하려는 인간의 욕망

- 초월적인 존재와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능력
- 선과 악을 알게하는 나무(וּמֵעֵץ הַדַּעַת טֹוב וָרָע)
- 하나님과 같이 되고자 함(וִהְיִיתֶם כֵּאלֹהִים יֹדְעֵי טֹוב וָרָע)

언어를 독점하려는 인간의 욕망

-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권한(법)을 독점하고자 함
- 독재자(dictator) - 자신의 언어만 통하는 세상 위에 군림하는 자
- 이렇게 출생하게 된 가인은 이러한 인간의 욕망을 실체적으로 보여주는 자가 됨

가인 - 문명의 창시자

창세기 4:17 아내와 동침하매 그가 임신하여 에녹을 낳은지라 가인이 성을 쌓고 그의 아들의 이름으로 성을 이름하여 에녹(חנוך)이라 하니라

에녹(חנוך) < 낙성식, 봉헌(חנך)
하나님의 영역과 분리된 새로운 공간의 탄생

문명과 문자

- 새로운 문명에서 문자는 사회질서의 근간
- 신화와 법의 기록
- 문자는 엘리트들의 전유물
- 하나님과의 언어적 단절

언어의 혼잡

창세기 11:1 온 땅의 언어가 하나요 말이 하나였더라
וַיְהִי כָל־הָאָרֶץ שָׂפָה אֶחָת וּדְבָרִים אֲחָדִים
창세기 11:6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이 무리가 한 족속이요 언어도 하나이므로
וַיֹּאמֶר יְהוָה הֵן עַם אֶחָד וְשָׂפָה אַחַת

🔘 민족적 정체성과 언어의 연결성
🔘 "하나됨"은 하나님에 대한 대적의 모습으로 묘사됨

언어의 혼잡

창세기 11:3-4 서로 말하되 자, 벽돌을 만들어 견고히 굽자 하고 이에 벽돌로 돌을 대신하며 역청으로 진흙을 대신하고 또 말하되 자, 성읍과 탑을 건설하여 그 탑 꼭대기를 하늘에 닿게 하여 우리 이름을 내고 온 지면에 흩어짐을 면하자 하였더니

🔘 벽돌로 표상되는 성벽으로 둘러싼 도시 문명
🔘 하나님의 영역에 이르는 첨탑과 이름을 내고자 하는 욕망 -> 제국의 언어

언어의 혼잡

창세기 11:7-8 우리가 내려가서 거기서 그들의 언어를 혼잡하게 하여 그들이 서로 알아듣지 못하게 하자 하시고 여호와께서 거기서 그들을 온 지면에 흩으셨으므로 그들이 그 도시를 건설하기를 그쳤더라

🔘 하나의 언어로 지배되는 세상의 붕괴
🔘 도시 건설, 즉 제국의 노역으로부터의 해방
🔘 붕괴된 제국의 언어와 하나님의 언어의 회복

아브라함

🔘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부르심(언어)을 이해하고 이에 순종한 자
🔘 아브람(ab-râmu "높으신 아버지") -> 아브라함(אברהם "열국의 아버지")
🔘 제국의 언어/정체성(수직적 권력)에서 하나님의 언어/정체성(수평적인 복의 전달자)으로 변화

모세

🔘 히브리인의 정체성과 히브리어
🔘 하나님의 법의 전달자. 제국의 언어가 아닌 하나님의 구별된 언어로 작성된 율법.
🔘 여호와께서 시내 산 위에서 모세에게 이르시기를 마치신 때에 증거판 둘을 모세에게 주시니 이는 돌판이요 하나님이 친히 쓰신 것이더라 (출애굽기 31:18)

성서와 고대근동문학

🔘 제국의 언어와 하나님의 말씀을 구별
🔘 유사하지만 성서의 독자성을 인식
🔘 성서의 배경이 되는 정황을 이해함으로 성서가 말하고자 하는 고유한 메시지를 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