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50년대 초 Austen Henry Layard에 의해 발견된 앗수르바니팔의 서고에서 토판 조각들이 발견됨
- 영국 박물관의 연구원이었던 George Smith가 이 토판을 연구하였고, 1872년에 일부 번역을 성서고고학회에서 발표(1876년에 전체 번역이 "갈데아의 창세기 기사"라는 제목으로 출간됨)
- 이후 토판이 게속 발견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내용이 보완됨. 가장 종합적인 연구는 런던대학의 Andrew R. George의 2권으로 된 연구서가 있음. (1999년과 2003년에 출간 / 논문참고)
(*메소포타미아의 홍수 이야기에 대한 흔적은 기원전 3세기 갈데아의 역사가 Berosus가 쓴 바벨론역사에서 찾아볼 수 있음. 완본은 전해지지 않지만 요세푸스와 같은 유대 역사가나 기독교 교부들의 글을 통해 간접적으로 인용)
- 수메르(2100-2000): 길가메쉬(빌가메쉬)와 관련된 독립적인 서사시들(길가메시와 후와와, 길가메시와 하늘의 황소, 길가메쉬와 아가, 길가메쉬와 엔키두의 지하세계 모험, 길가메쉬의 죽음)
- 고바빌론어(1800): 길가메쉬 서사시의 표준 버전의 초기 형태(iškar Gilgāmeš). 길가메쉬 이야기가 단일한 서사 구조에서 통합(길가메쉬와 엔키두의 모험, 훔바바와의 전투, 엔키두의 죽음).
- 신바빌론어/앗시리아어 표준 텍스트(1300-1000): 길가메쉬 서사시의 표준 버전(대부분의 현대 번역본의 대본). 앗수르파니팔의 서고에서 발견된 버전. 12개의 서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불멸에 대한 길가메쉬의 탐구를 포함하는 가장 완전한 형태의 서사시(분량이 일정하게 필사되었다는 것은 일종의 정경화 작업).(텍스트)
- 수메르어: 𒀭𒄑𒉋𒂵 (d + g̃ešbil₂-ga /bilga/, 조상) + 𒎌/𒈩 (meš /mes/, "영웅") 빌가메쉬 "나의 선조는 영웅이라 혹은 늙은이에서 젊은이로(영생?)"
- 아카드어(바벨론/앗시리아): 𒀸𒈦𒄑𒂆𒈦 dGIŠ-GIN₂-MAŠ; Gilgameš
- 우룩의 왕 루갈반다(Lugalbanda)와 황소 여신 닌순(Ninsun) 사이에서 태어난 2/3는 신, 1/3은 인간의 정체성
- 표준본문(canonical text): Sha naqba īmuru ('심연을 본 자', incipit <첫 구절을 제목으로 삼는 방식>)
- Sîn-lēqi-unninni: 1300-1100년 사이 우룩에서 활동했을 것으로 추정. 길가메쉬의 표준 본문을 완성한 이로 여겨짐.(그의 계보에 대한 연구)
- Sîn-lēqi-unninni에 관한 언급 (링크)
- 토판1: 우르크의 왕 길가메시는 반신반인으로, 도시의 사람들을 억압하고 괴롭힙니다. 신들은 엔키두라는 야생인을 만들어 길가메시를 견제합니다. 엔키두는 우르크로 가서 길가메시와 대결하지만, 결국 친구가 됩니다.
- 토판2: 길가메시와 엔키두는 위대한 영웅이 되기로 결심하고, 삼나무 숲으로 가서 거대한 괴물 훔바바를 죽입니다.
- 토판3: 훔바바와의 싸움 후, 두 영웅은 우르크로 돌아옵니다.
- 토판4: 엔키두는 꿈을 통해 신들이 자신의 죽음을 결정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 토판5: 엔키두는 병에 걸려 죽음에 이르며, 길가메시는 친구의 죽음에 깊은 슬픔에 빠집니다.
- 토판6: 엔키두의 죽음으로 불멸에 대한 두려움에 사로잡힌 길가메시는 불멸의 비밀을 찾아 여행을 떠납니다.
- 토판7: 길가메시는 불멸을 얻은 유일한 인간, 우트나피쉬팀을 만나기 위해 긴 여정을 시작합니다.
- 토판8: 길가메시는 마침내 우트나피쉬팀에게 도달합니다. 우트나피쉬팀은 자신이 불멸을 얻은 이야기와 인간이 왜 불멸을 얻을 수 없는지 설명합니다.
- 토판9: 우트나피쉬팀은 길가메시에게 불멸의 식물을 알려줍니다. 길가메시는 그 식물을 찾아 물 속으로 들어갑니다.
- 토판10: 길가메시는 불멸의 식물을 얻지만, 돌아오는 길에 한 뱀이 그 식물을 훔쳐갑니다.
- 토판11: 길가메시는 불멸을 얻는 데 실패했지만, 자신이 왕으로서 해야 할 일과 인간의 삶의 가치에 대해 깨닫습니다. 대홍수 이야기가 우트나피쉬팀에 의해 전해집니다.
- 토판12: 엔키두가 지하세계로 내려가는 이야기입니다. 이 서판은 원래 서사의 일부가 아니며, 나중에 추가된 것으로 보입니다. 엔키두는 지하세계의 상황을 보고 길가메시에게 전달합니다.
- '대홍수'(Deluge)에 관한 이야기는 문화와 시대를 막론하고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음. (홍수설화 모음, 한국의 홍수 설화(참고1, 참고2))
내용 | 길가메시 서사시 | 아트라하시스 서사시 | 성서 (창세기) |
---|---|---|---|
홍수의 원인 | 신들의 결정으로, 인간의 소음 때문에 신들이 평화를 취할 수 없었기 때문. | 인간의 소음 때문에 신들이 평화를 취할 수 없었기 때문. | 인간의 죄악이 많아져서, 하나님이 세상의 악을 제거하기 위해 결정. |
주인공 | 우트나피쉬팀 (홍수에서 살아남은 인물). | 아트라하시스 (홍수에서 살아남은 인물). | 노아 (의로운 인물로, 홍수에서 살아남음). |
신의 지시 | 우트나피쉬팀에게 홍수에 대해 경고하고, 배를 짓도록 지시함. | 아트라하시스에게 홍수에 대해 경고하고, 배를 짓도록 지시함. | 노아에게 홍수에 대해 경고하고, 방주를 짓도록 지시함. |
배/방주 | 큰 배를 지어 가족과 동물들을 구함. | 큰 배를 지어 가족과 동물들을 구함. | 방주를 지어 가족과 각종 동물들을 구함. |
홍수의 기간 | 6일 밤낮. | 7일 밤낮. | 40일 밤낮으로 비가 내리고, 총 150일 동안 물이 땅을 덮음. |
홍수 후의 제사 | 우트나피쉬팀이 신들에게 제사를 올림. 신들은 제사의 향기에 이끌림. | 아트라하시스가 신들에게 제사를 올림. 신들은 제사의 향기에 이끌림. | 노아가 하나님께 번제물을 바침. 하나님은 이를 기쁘게 받아들임. |
신과의 약속 | 홍수로 인간을 멸망시키지 않겠다는 신들의 약속이 이야기됨. | 홍수로 인간을 다시 멸망시키지 않겠다는 신들의 약속이 이야기됨. | 하나님이 더 이상 홍수로 세상을 멸망시키지 않겠다는 약속을 함 (무지개를 표시로 줌). |
창세기의 창조 이야기는 하나인가 두 개인가?
노아의 방주에 들어간 동물들은 몇 쌍인가?
아브람(아브라함)은 자신의 아내 사라를 누이라고 몇 번 속였는가?
야훼 하나님의 이름은 족장들에게 알려졌는가? 그렇지 않았는가?
모세의 장인의 이름은 무엇인가?
홍수의 원인: 하나님의 아들들과 사람의 딸들의 결합, 그리고 네필림의 등장
구별되어야 할 거룩의 계보가 사라져 감(선의 결핍)
- 홍수의 원인: 하나님의 아들들과 사람의 딸들의 결합, 그리고 네필림의 등장
- 구별되어야 할 거룩의 계보가 사라져 감(선의 결핍)
- 메소포타미아 신화는 신들이 중심이 되고, 인간은 신들의 기분에 따라 운명이 결정되는 부차적인 존재로 언급. 그러나 성서의 홍수 이야기는 인간과 세상의 거룩성을 회복하기 위한 새창조의 의미.
- 홍수에서 살아남은 이는 '반신반인'과 같은 영생의 존재(우트나피쉬팀)가 됨(소수의 특별한 존재). 그러나 성서의 노아는 여전히 연약하고 불완전한 존재로 그려짐(모든 인간의 연약성).
- 메소포타미아의 홍수 신화는 홍수와 그리고 그 이후의 자연재해 등을 통해 인구수를 통제하려고 함
- 성서는 다시 창조의 언어를 사용함으로 인간의 번성을 하나님의 축복으로 정의하고 있음
- 방주에 들어간 동물들이 모두 한 쌍인가, 일곱쌍(정결)/한쌍(부정)인가?
- 홍수에 대한 최초의 예고 - 모든 동물 한 쌍을 데려오라 (생명을 이어가시겠다는 의지)
- 일곱쌍(정결)/한쌍(부정)의 구분 - 준비를 마친 후 구체적인 규례 지시. 정결한 동물은 하나님을 위한 제사를 위해 더 많이 필요. (제사에 관심있다고 알려진 P는 오히려 정결과 부정에 대한 구분을 하지 않음)
- 40일? 150일?
- 비가 내렸던 시기가 40일, 물이 차 있던 시기가 150일
- 노아가 보냈던 새들
- 길가메쉬는 까마귀, 제비, 비둘기를 모두 언급. 그러나 문서설에 따르면 비둘기와 까마귀를 분리시키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