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히카르 이야기 (파피루스 기록)

- 이집트 엘레판틴에서 기원전 5세기 경에 아람어로 기록된 것으로 추정되는 파피루스 사본이 처음으로 발견
- 이 이야기는 아람어, 시리아, 아랍어, 그리스어 등으로 번역되어 주변 세계에 통용되었음.
- 최초의 '국제문학서적'으로 알려져 있는 이야기

아히카르

- 아히카르 이야기 상에 나타나는 이 주인공은 앗수르 산헤립(704-681 BCE)과 에살핫돈(680-669 BCE)의 통치 시기에 활동했던 것으로 묘사되고 있음
- 아히카르라는 이름은 아람어 본문의 אחיקר(셈어 - 나의 형제는 귀중하다)를 따른 것이며, 우룩(Warka)에서 발견된 쐐기 토판 명부에서 한번 나타남: "에살핫돈의 시대에 Aba-enlil-dari, 아람인들이 대학자 아후카르(Ahuqar)라 부르는 관료/학자"

아히카르 이야기의 장르와 주제

- 아히카르 이야기는 셈족 출신의 지혜로운 관료 아히카르가 앗수르와 이집트의 왕궁에서 활약하는 내용을 담고 있음
- 이 이야기는 여러 플롯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는 '노벨라'의 성격을 띄고 있으며, 시리아 역본에는 이 이야기에 아히카르의 잠언집 추가되어 있는데 이는 '지혜문학'의 성격을 갖고 있음. 그러나 이 내러티브와 잠언집은 본래 별개로 존재했을 것으로 생각됨 (e.g. 솔로몬 네러티브 + 전도서)
- 구약 외경서인 토빗기에도 그의 이름이 여러번 나오는데, 토빗의 조카이자 조력자로 언급되고 있음

아히카르 이야기 요약

- 아히카르의 지위와 지혜: 아히카르는 아시리아 왕의 고위 재상이자 현명한 조언자로, 그의 지혜와 정의로움은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 후계자의 선택과 배신: 아히카르는 자식이 없어 조카 나단을 후계자로 선택하고, 그에게 지혜와 경험을 전수하지만 나단은 아히카르을 배신하여 왕에게 거짓말을 하고, 아히카르를 죽음에 이르게 하려 합니다.
- 아히카르의 은폐: 아히카르은 조력자의 도움을 받아 죽은 척하며 숨어 지낼 수 있었고, 나단의 거짓말과 계략이 드러나기를 기다립니다.

아히카르 이야기 요약

- 재등용: 이집트의 왕이 앗수르의 왕을 시험하자 앗수르 왕은 아히카르를 죽인 것에 대한 후회를 했고, 이 때 아히카르의 조력자가 아히카르가 생존해 있음을 알리고 재등용하게 합니다.
- 이집트 왕의 시험: 아히카르는 이집트로 건너가 지혜의 시험을 성공적으로 통과하여 이집트의 조공을 앗수르에게 가져옵니다.
- 아히카르의 복귀와 나단의 처벌: 아히카르의 지혜가 다시 한번 입증되면서 그는 왕의 총애를 받으며 복귀하고, 나단은 그의 행동에 대한 대가를 치릅니다.
- 아히카르의 잠언집 (일부 역본)

아히카르와 요셉 이야기(다니엘, 에스더)의 유사성 (헤이즈, 224)

- 한 이방인이 황제의 궁의 일원이 된다
- 그는 스스로 현명함을 보인다
- 이 현명한 사람은 반역했다는 거짓 고발을 당하고 투옥된다
- 비상한 지혜나 통찰력으로만 해결될 수 있는 위기가 몰려온다.

아히카르와 요셉 이야기의 유사성 (헤이즈, 224)

- 이 현명한 사람에게 빚을 진 우호적인 신하가 그를 구한다
- 이 현명한 사람은 위기를 극복하게 된다
- 이 현명한 사람은 보상을 받는다

반복되는 이야기 패턴
(sister-wife 모티프)

양식 비평(Form Criticism)
문학 관습(Literary Convention)

Hermann Gunkel
(23 May 1862-11 March 1932)

양식비평(Form Criticism)

문서 이전 구전 단계에서의 성서 전승 역사에 관심. 반복되는 이야기 장르(양식)를 규정하고 이에 따라 전승 주체/시대를 분류함으로 구전에서 문학 단계로 이르는 역사(종교의 역사)와 삶의 정황(Sitz im Leben)을 밝혀내려고 함

양식비평(Form Criticism)

구전 전승은 문서 기록보다 변이가 자유롭고, 그 변이된 형태를 통해 그 본문을 둘러싸고 있는 시대 정신을 유추해 낼 수 있음. 궁켈의 입장에서 성서 문학은 다양한 구전 이야기들의 모음집

창세기와 양식비평(Form Criticism)

궁켈은 역사(현대적 관점의)와 설화(Sage)를 분리하고 고대인들의 이야기 전승 방식을 설화로 규정. 궁켈은 창세기가 이 설화적 양식으로 형성된 것이라 주장. 그러나 장르 안에서 나타나는 형식상의 변이는 삶의 정황(혹은 시대상)의 차이.

창세기와 양식비평(Form Criticism)

창12장 - 가장 완결되고 오래된 이야기(folklore)
창20장 - 하나님의 정의에 대한 신학적 질문
창26장 - 이야기의 성격을 완전히 상실. 도덕성 강조

역사가가 아닌 수집가로서의 J

시대순: 창12장 - 창20장 - 창26장
문서의 구분: 12장J(a), 20장E, 26장J(b)
문서설의 해체에 대한 단초

James Muilenburg
(1 June 1896-10 May 1974)

신양식비평(New Form Criticism)

역사적인 입장(통시적 diachronic)에서 장르에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문학적인 관점(공시적 synchronic)에서 장르에 접근하는 비평 방법. 저자는 반복되는 문학 양식을 통해 어떠한 메시지를 전달하는가?

신양식비평(New Form Criticism)

공통되는 양식에서 나타나는 차이점은 역사적 정황에 의한 차이가 아니라, 저자의 문학적인 의도를 반영하는 것.

Robert Bernard Alter
(1935~ )

문학관습(Literary Convention)

반복되는 문학 패턴(type-scene)은 특정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불임여성 - 영웅의 기적적인 탄생)이며, 저자의 의도는 반복되는 패턴 상에서 나타나는 개별적 특징에 반영

wife-sister 이야기

패턴의 주제: 자손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이 실현될 수 있는가?

wife-sister 이야기

창12장 - 아브라함의 불순종, 복의 확인
창20장 - 하나님의 정의에 대한 질문, 소돔과 고모라(19장)
창26장 - 이삭의 순종, 하나님의 보호하심

성서의 왕궁 이야기

- 성서의 왕궁 이야기는 하나님의 직접적인 개입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기 때문에 고대근동문학과 매우 유사한 성격을 보임
- 그러나 성서의 이야기는 등장인물들을 통해 하나님께서 지혜의 근본이 됨을 직간접적으로 강조하고 있음
- 고대근동문학은 한 개인이나 지도자의 명석함과 능력에 강조점이 있으나, 성서 문학은 하나님의 섭리와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에 강조점을 두고 있음.

성서의 왕궁 이야기

- 요셉, 다니엘, 에스더 등의 왕궁 이야기는 디아스포라의 역사를 배경으로 하고 있음.
- 지혜로운 신하(많은 경우 이방인)를 부각시키는 이러한 이야기 형식은 왕의 권위를 약화시키고(심지어 조롱하고) 왕의 권위보다 더욱 더 중요하고 근본적인 가치를 제시하고 있음.(지혜, 하나님의 권위 등) - 나라와 성전, 그리고 땅을 잃어버린 상황에서도 하나님의 역사는 계속해서 이루어질 수 있는가? 성서에 나타난 왕궁 이야기는 바로 이에 대한 메시지를 전해 주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