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페르시아 시대의 성소
예루살렘 성전 (스룹바벨 성전)
- 에스라서에 따른 예루살렘 성전 재건 과정
- 538 고레스 칙령. 유다 포로 귀환. (스1:1)
- 537 성전 재건 시작 (스3:8-10)
- 유대인들의 대적자들이 다리오왕 즉위시까지 성전 재건 방해
- 522-486 다리우스 1세
- 520 학개의 예언과(학2:1) 성전건축 재개(스6:13-14)
- 515 성전 재건 완료 (스6:15)
제2차 성전시대에 성전의 영향은 이스라엘에서 매우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바벨론에 의한 예루살렘의 몰락 이후 오랫동안 이스라엘에는 왕이 세워지지 못한다. 즉, 정치적인 리더십의 공백이 수백년간 계속되는 상황 가운데 놓이게 된다. 그래서 이 기간 동안 정치적인 리더십 역시 대제사장이 담당하게 된다. 이러한 대제사장의 독특하고 광범위한 리더십은 하스모니안 왕조의 초기 지도자들이 왕이라는 호칭을 바로 사용하지 못하고 대제사장의 호칭을 사용했다는 데에서도 잘 드러나고 있다.
엘레판틴 성소
엘레판틴의 위치
- 구약성경의 기록: 수에네(겔 29:10; 30:6), 시님(사 49:12)
- 유대인들은 이 곳에 기원전 6-4세기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북이스라엘 유민 일부와 남유다 유민들 대다수)
- 엘레판틴에서 발견된 대량의 파피루스와 질그릇 위에 새겨진 새김글(오스트라카)은 이 곳에 있었던 유대인들과 그들의 종교에 대해 말해주고 있다. 이 문헌들에 YHWH의 이름이 나오는데 엄밀히 표현하면 YHW이다. ('야호'로 발음?)
- 이 곳에 YHWH를 섬기는 유대인들에 대한 흔적이 발견되지만 완전한 유일신으로 여겨졌던 것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다신론 내지 일신론). 이들이 남긴 축복문을 YHWH 뿐만 아니라 이방신의 이름과 함께 축복하기도 한다.
- 유대인들은 이 곳에 YHWH를 위한 신전을 세웠는데 이 신전은 이집트의 크눔신(Khnum)을 숭배하는 용도로도 사용되었다. 그 뿐만 아니라 아낫-베델과 아샴-베델 또한 함께 숭배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 이들은 기원전 407년에 페르시아의 총독이었던 바고아스(Bagoas)에게 엘레판틴의 유대 성전을 재건하는데 도움을 달라는 요청을 담은 서신을 보내기도 했다. 이 편지에서 유대인들은 이 신전이 이집트 왕국 시대 때부터 이미 존재했다고 말하고 있다(본문참고).
- 엘레판틴의 유대인들의 종교는 이방 문화와 종교와 접촉하여 매우 혼합주의적인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이러한 혼합주의적인 신앙은 새로운 것은 아니었으며, 성서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미 왕국시대 때부터 지속되어 온 왜곡된 유일신 신앙의 한 면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심산의 성소
그리심산
로그인하면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