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페르시아_시대의_성소 [2023/09/09 15:30] – [엘레판틴 성소] kungsik페르시아_시대의_성소 [2023/09/09 15:39] (현재) – [그리심산의 성소] kungsik
줄 35: 줄 35:
 그리심산 그리심산
  
 +  * 에스라 4:11에 따르면 사마리아인들은 페르시아 시대 때 유다인들과 결별하여 각자 다른 종교 전통을 이루게 되었다. 그래서 이들은 예루살렘을 떠나 자신들(북이스라엘 전통)의 고유한 성소라 여겨온 그리심산으로 이주하였다.
 +  * 이들은 그리심산이 합법적인 성소라는 전통을 확고히 하기 위해 기존의 오경을 일부 수정한 사마리아 오경을 자신들의 고유한 경전으로 삼았다. 
 +  * 사마리아 오경의 사본은 히브리어로 적혀 있는데, 알파벳 체계는 사마리아 전통의 알파벳읠 사용하고 있다. 지금까지 남아 있는 사본들 가운데 가장 오래된 사본은 아비샤(Abisha) 두루마리로 아론의 증손자이자, 비느하스의 아들인 아비수아(역대상 6:4,35)가 손수 필사한 사본이라고 여겨진다. 그러나 현재 남아 있는 사본들은 12~13세기의 중세 사본으로 추정되고 있다. 
 +  * 사마리아 오경에는 특히 자신들의 성소인 그리심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사마리아 오경, 출애굽기의 십계명 본문(출20:17)에는 다음을 추가하고 있다. 
 +
 +주 하나님께서 너희를 가나안 땅으로 인도하여 들어가게 하실 때에 너희는 그곳에 큰 돌을 세우고 회반죽을 바르고 그 돌 위에 이 율법의 모든 말씀을 기록하여 두어야 한다. __그리고 요단강 건너편에 있는 그리심 산에서 내가 오늘 너희에게 명령하는 이 돌들을 너희가 들어 올려야 한다.__ 그리고 너희는 그곳에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께 제단을 쌓아라. 돌로 만든 제단. 그 위에 쇠를 흔들어서는 안 된다. 너희는 돌로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께 제단을 쌓아야 한다. 그리고 그 위에 너희는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께 제물을 올려 드리고 화목제를 드리고 거기서 음식을 먹으며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의 얼굴 앞에서 즐거워해야 한다. 이 산은 요단강 건너편 해 돋는 길 뒤편, 갈갈 앞 광야, 알빈 마라 옆, 세겜 앞 가나안 땅에 있는 산입니다.
  
맨 위로